프로야구 kt 위즈가 LG 트윈스를 상대로 이틀 연속 역전승을 거두며 가을야구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kt는 29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2024 신한 SOL뱅크 KBO리그 LG와 시즌 15차전 방문경기에서 3-5로 뒤진 8회말 대거 5점을 뽑아내며 8-7, 1점 차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다. 잠실 3연전을 위닝시리즈로 장식한 kt는 LG와의 시즌 맞대결에서 7승 8패를 기록하며 61승 2무 62패, 승롤 0.496으로 리그 5위 자리를 굳게 지켰다. 4위 두산 베어스(승률 0.512·64승 2무 61패)와의 승차는 2경기 차로 좁혀졌고 6위 SSG 랜더스(승률 0.480·59승 1무 64패)와의 격차로 2경기 차로 벌어졌다. kt 선발 고영표는 4⅔이닝 동안 9피안타 5실점(5자책)으로 패전 위기에 빠졌지만 막판 타선의 도움으로 패배를 기록하지 않았고 7회 마운드에 오른 우규민은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며 시즌 3승(1패 1세이브)째를 올렸다. 또 마무리 박영현은 9회 2피안타 2실점했지만 시즌 22세이브(10승 2패)를 기록했다. 타선에서는 멜 로하스 주니어가 5타수 3안타 3타점으로 활약했고 배정대(2타수 1안타 2타점)와 오재일(2타수 1홈런 1타점
프로야구 kt 위즈가 키움 히어로즈와 주중 경기를 위닝시리즈로 만들며 공동 5위로 도약했다. kt는 22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2024 신한 SOL뱅크 KBO리그 키움과 홈 경기에서 황재균의 결승타에 힘입어 3-2, 1점 차 신승을 거뒀다. 이날 승리로 57승 2무 60패, 승률 0.487이 된 kt는 SSG 랜더스(승률 0.487·57승 1무 60패)와 동률을 이루며 공동 5위로 올라섰다. kt는 또 올 시즌 키움과 상대 전적에서 11승 2패로 크게 앞서며 천적임을 다시한번 확인했다. kt는 1회말 선두타자 김민혁의 좌전안타에 이어 멜 로하스 주니어의 2루 땅볼로 2루까지 진루했고 강백호가 중견수 플라이로 돌아섰지만 키움 선발 정찬헌을 상대로 2볼 2스트라이크에서 6구 커브를 받아쳐 가운데 담장을 넘기는 비거리 125m의 투런포를 쏘아올려 2-0으로 앞서갔다. kt는 2회에도 1사 후 김상수의 좌전안타와 배정대의 볼넷으로 1사 1, 2루 기회를 잡았지만 심우준이 병살타로 물러나며 추가 득점에 실패했다. 2-0으로 앞서가던 kt는 3회까지 무실점 호투하던 조이현이 4회 선두 타자 김혜성에게 우중간 2루타를 얻어맞은 뒤 송성문을 포수 스트라이크 낫 아웃
이제 목표는 상위권 도약이다. 올 시즌 프로야구 개막과 함께 하위권을 전전하다 무더위가 시작된 6월부터 조금씩 순위를 끌어올린 kt 위즈가 이제 남은 일정의 목표를 상위권 진입으로 수정한다. kt는 29일 현재 49승 2무 48패, 승률 0.505로 SSG 랜더스(49승 1무 48패)와 동률을 이루며 공동 4위에 올라 있다. kt는 6위 두산 베어스(승률 0.5049·51승 2무 50패)와는 승차없이, 7위 NC 다이노스(승률 0.495·47승 2무 48패)에는 1경기 차로 쫒기고 있다. 반면 3위 삼성 라이온즈(승률 0.520·51승 2무 47패)를 1.5경기 차로 바짝 쫒고 있다. 촘촘하게 형성된 순위이기 때문에 한 경기 한 경기가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kt는 이번 주 리그 하위권인 9위 한화 이글스(승률 0.436·41승 2무 53패)와 NC를 잇따라 상대한다. kt는 올 시즌 한화를 상대로 5승 7패로 열세다. 3월 시즌 첫 3연전 맞대결에서 스윕패(3전 전패)를 당했고 4월 3연전에서 스윕승(3전 전승)을 거뒀으며 6월 3연전에서 또다시 스윕패를 기록했다. 또 가장 최근에 진행된 7월 초 3연전에서는 2승 1패로 위닝시리즈를 달성했다. 한화가 하위
프로야구 kt 위즈가 대타 오재일의 3점포와 선발 엄상백의 호투를 앞세워 후반기 첫 위닝시리즈를 달성했다. kt는 13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2024 신한 SOL뱅크 KBO리그 롯데 자이언츠와 시즌 10차전 방문경기에서 6-3으로 승리했다. 이로써 kt는 41승 2무 46패(승률 0.471)로 7위를 유지했다. 6위 NC 다이노스(승률 0.494·42승 2무 43패)와는 여전히 2경기 차다. 이날 승리로 후반기 첫 위닝시리즈를 달성한 kt는 롯데와 시즌 전적에서도 5승 1무 4패로 앞섰다. kt 선발 엄상백은 7⅓이닝 동안 3피안타, 1볼넷, 1몸에 맞는 볼, 6삼진으로 3실점(3자책)하며 시즌 첫 퀄리티스타트 플러스(QS+)를 기록하며 시즌 8승(7패)째를 올렸다. 타선에서는 오재일이 7회 대타로 나와 3점 홈런을 쏘아올려 팀 승리에 앞장섰고 장성우도 솔로포로 힘을 보탰다. 3회초 2사 2루 득점 기회를 살리지 못한 kt는 4회 2사 후 장성우가 1볼 상황에서 롯데 선발 김진욱의 2루 슬라이더를 받아쳐 좌측 담장을 넘기는 솔로포를 쏘아 올려 1-0으로 앞서갔다. 그러나 kt는 5회말 나승엽의 우전안타와 윤동희의 좌전안타에 이은 노진혁의 희생번트로 맞은
프로야구 kt 위즈가 LG 트윈스를 상대로 위닝시리즈를 만들며 하위권 탈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kt는 23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2024 신한 SOL뱅크 KBO리그 LG와 더블헤더 2차전에서 4-3, 1점 차 신승을 거뒀다. 지난 21일 LG와 주말 3연전 첫 경기에서 3-2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둔 kt는 22일 경기가 우천으로 연기돼 이날 치른 더블헤더에서 1차전을 2-7로 패했지만 2차전을 승리로 장식하며 위닝시리즈를 가져갔다. 32승 1무 43패, 승률 0.427이 된 kt는 9위를 유지하며 7위 한화 이글스(승률 0.452·33승 2무 40패)와의 승차를 2경기로 좁혔다. 9위 롯데 자이언츠(승률 0.444·32승 2무 40패)와는 1.5경기차다. kt 선발 엄상백은 이날 개인 한 경기 최다 투구(116구)를 기록하며 5이닝 동안 홈런 1개 포함, 5피안타, 2볼넷, 4삼진, 2실점으로 시즌 7승째(7패)를 올렸다. 엄상백은 특히 지난 달 25일 열흘간의 휴식을 취한 뒤 복귀해 6경기에서 5승 1패를 거두며 불안한 선발 마운드를 굳게 지켰다. 타선에서는 강백호가 대타로 나와 결승타점을 올렸고 장성우와 오재일도 나란히 3타수 1안타 1타점으로 팀 승
지난 2013년 팀 창단 후 2015년 1군 무대에 데뷔한 kt 위즈는 2021년 통합우승이라는 대업을 거두며 프로야구 신흥 명문으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kt는 2022년 정규리그 4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데 2023년에는 정규리그 2위에 오른 뒤 한국시리즈 준우승을 차지하며 명문 구단의 명성을 이어갔다. 그러나 kt는 최근 2년 연속 시즌 초반 하위권에 머물며 프로야구단 대표 슬로스타터라는 별칭을 얻었다. kt는 2022시즌 5월 말까지 8위에 머물렀지만 6월부터 순위를 끌어올리기 시작해 7월 4위까지 도약했고 이후 꾸준히 중위권을 유지하며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했다. 2023시즌 초반에도 주전급 선수들의 잇따른 부상악재에 kt의 성적은 하위권이었다. 5월 마지막 날 10위에 자리했던 kt는 6월들어 상승세를 타더니 6월 230일 7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렸고 이후 2개월 간 승수를 쌓으며 8월 31일 2위로 도약했다. kt는 지난 시즌 2위로 정규리그를 마무리 했다. kt는 올 시즌에도 주전 투수들의 부상과 부진으로 시즌 초반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런 kt는 최근 6경기에서 4승 2패의 준수한 성적을 거두며 반등을 준비하고 있다. 상승세를 타고
프로야구 kt 위즈가 선발 웨스 벤자민의 호투에 힘입어 시즌 첫 연승과 함께 위닝시리즈를 달성했다. kt는 18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린 2024 신한 SOL뱅크 KBO리그 키움 히어로즈와 방문경기에서 3-0으로 승리했다. kt는 이날 승리로 시즌 첫 연승과 함께 시즌 첫 위닝시리즈를 동시에 기록했다. kt는 지난 달 23일 시즌 개막 이후 단 한 번도 연승을 기록하지 못했고 위닝 시리즈도 만들지 못했다. 그러나 이날 외국인 투수 벤자민의 무실점 호투에 힘입어 시즌 첫 연승과 함께 첫 위닝시리즈를 만들었다. 7승 16패, 승률 0.304가 된 kt는 8위 두산 베어스(9승 14패·승률 0.391)와의 승차를 2경기로 좁히며 9위를 유지했다. kt 선발 벤자민은 8이닝 동안 안타 1개, 볼넷 2개를 허용했지만 삼진 6개를 잡아내며 무실점 호투, 시즌 2승째(1패)를 챙겼다. 또 마무리 박영현은 9회 마운드에 올라 키움 타선을 삼자범퇴로 막아내며 전날에 이어 2경기 연속 세이브(2승 2패)를 기록했다. 1회를 득점없이 마친 kt는 2회 선두타자 문상철의 중전안타 이후 장성우의 삼진, 김민혁의 2루 땅볼로 2사 1루로 바뀌면서 득점 기회를 놓치는 듯 했지만
프로야구 kt 위즈가 김민혁의 호쾌한 방망이를 앞세워 후반기 첫 주말 3연전을 위닝시리즈로 장식했다. kt는 23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2023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삼성 라이온즈와 방문경기에서 장단 32안타를 주고받는 난타전 끝에 8-7로 짜릿한 승리를 챙겼다. 이로써 후반기 첫 3연전을 위닝시리즈로 장식한 kt는 39승 2무 42패(승률 0.481)로 ‘가을야구’ 진출 마지노선인 5위 롯데 자이언츠(39승 41패·승률 0.488)와의 승차를 0.5경기 차로 좁혔다. 1회초 2사 1, 2루 득점 기회를 놓친 kt는 1회말 선두타자 김현준의 우전안타, 김지찬의 볼넷, 구자욱의 희생번트로 맞은 1사 2, 3루 위기에서 선발 배제성이 강민호에게 2타점 우전 적시타를 허용, 0-2로 기선을 내줬다. 반격에 나선 kt는 3회초 김민혁이 중전안타로 진출한 뒤 김상수의 2루 땅볼 때 김민혁이 아웃된 데 이어 앤서니 알포드의 우익수 플라이로 득점에 실패하는 듯 했지만 박병호의 2루 땅볼 때 상대 실책으로 2사 1, 3루 기회를 살렸고 장성우의 좌전 적시타로 1점을 뽑아 1-2로 쫒아갔다. kt는 4회 오윤석의 중전안타, 배정대의 볼넷으로 만든 1사
프로야구 kt 위즈가 두산 베어스를 꺾고 2연승을 달리며 탈꼴찌 희망을 이어갔다. kt는 4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린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두산과 홈경기에서 5-2으로 승리했다. 이로써 2연승을 달린 kt는 18승 2무 30패(승률 0.375)로 같은 날 삼성 라이온즈를 10-5로 꺾은 9위 한화 이글스(19승 3무 29패)와 1경기 차를 유지했다. 이날 kt 선발 사임드암 이선우는 2이닝 3피안타(1피홈런) 2실점으로 일찍 마운드에서 내려왔지만 불펜 주권, 손동현, 박영현이 각각 2이닝 무실점으로 두산 타선을 틀어막았다. 타선에서는 강백호가 4타수 1안타 2타점, 박병호가 4타수 1득점 2안타 1타점으로 활약했다. kt는 2회초 수비에서 두산 양석환에게 중견수 오른쪽 1루타를 허용한 뒤 로하스에게 투런 홈런을 맞아 선제점을 내줬다. 그러나 2회말 2사 1, 2루에서 김상수와 강백호가 각각 좌익수 왼쪽에 떨어지는 1타점 적시타와 우전 2타점 적시타를 때리며 3-2로 역전에 성공했다. 기세가 오른 kt는 5회말 선두타자 강백호가 2루수 땅볼로 잡힌 1사에서 좌전안타로 출루한 박병호가 장성우의 좌중간 2루타 때 홈을 밟아 4-2로 달아났다. 이어
프로야구 SSG 랜더스가 KIA 타이거즈와의 주말 3연전을 위닝시리즈로 장식했다. SSG는 31일 광주 KIA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2022 신한은행 쏠(SOL) KBO리그 KIA와의 원정경기에서 추신수의 결승 스리런 홈런을 앞세워 3-2로 승리했다. 이날 승리한 SSG는 시즌 63승 3무 28패(승률 0.692)로 리그 1위를 유지했다. 선발투수로 나선 박종훈이 3이닝 2피안타 무실점으로 막고 뒤이어 오원석(구원승)이 3이닝을 6피안타 2실점으로 막으며 팀 승리를 견인했다. 타선에서는 추신수가 3타수 1안타(1홈런) 3타점 경기를 펼쳤다. 지난해 오른쪽 팔꿈치 수술을 받았던 박종훈은 이날 429일 만에 1군 무대에 등판했다. 1회말 1사 후 이창진과 나성범에게 연속 안타를 맞은 박종훈은 후속타자 황대인을 우익수 뜬공, 최형우를 2루 땅볼로 처리하며 복귀 후 첫 이닝을 마쳤다. 2회말 1사 후 류지혁에게 볼넷을 내주긴 했지만, 박동원(삼진), 김호령(중견수 뜬공)을 연달아 잡아냈다. 3회말에는 선두타자 박찬호에 볼넷을 내줬으나 이창진을 희생번트 아웃으로 잡고, 중심타선인 나성범(유격수 땅볼)과 황대인(삼진)을 차례로 돌려세웠다. 4회말부터는 오원석이 등판해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