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어찌 할 수 없는 상황을 일컫는 ‘부조리’는 알베르 카뮈의 핵심 철학이다. 소설 ‘이방인’ 속 주인공 뫼르소가 아랍인을 권총으로 쏴 죽인 것은 강렬한 태양 때문이었고 ‘시지프스’의 무한히 돌을 굴려 내려뜨리는 시지프스의 형벌은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외부 상황 때문이었다. 이런 외적인 상황에서 인간은 ‘부조리’에 저항한다. 최근 공연계에서도 알베르 카뮈를 조명한 작품들이 개봉하고 있다. 카뮈의 ‘부조리’ 철학을 다룬 ‘시지프스’와 카뮈가 자동차 사고로 죽고 발견된 원고 ‘최초의 인간’을 바탕으로 한 ’퍼스트 맨: 카뮈가 남긴 마지막 이야기’다. 알베르 카뮈의 실존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그의 작품 세계를 재해석했다. 알베르 카뮈(1913~1960)는 프랑스 알제리 출신 작가이자 언론인, 철학자다. 1933년 ‘알제 레퓌블리캥’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하고 파스칼 피아와의 인연으로 레지스탕스 기관지 ‘콩바’를 운영했다. 1937년 첫 작품 ‘안과 겉’을 출간하고 1942년 ‘이방인’과 ‘시지프스의 신화’를 출간하며 사회적 파란을 일으켰다. 이어 발표한 희곡 ‘오해’와 ‘칼리굴라’로 부조리한 인간의 조건을 역설해 실존주의 철학의 대표자로 자리매김했다. 1947년
전쟁과 사형제도의 폐지, 아우슈비츠 유태인 학살,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나치 부역자 청산, 파시즘에 대한 투쟁, 억압받는 정치인과 문인들에 대한 구명 등 혼란스러운 20세기 인간의 정의를 찾은 알베르 카뮈(1913~1960). 그의 부조리 철학은 인간을 둘러싼 세계의 부정의 함에 대한 투쟁이자 저항을 상징한다. 서울 산울림 소극장에서는 알베르 카뮈 원작 소설을 극화한 연극 ‘이방인’이 관객을 만나고 있다. 극단 산울림의 레퍼토리 연극으로 2017년 초연된 이후 세 번째 공연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알베르 카뮈의 작품 세계와 철학을 조명하기 위해 극화했다. 지중해 알제에 사는 청년 뫼르소는 최근 어머니를 잃었다. 유일한 혈육인 어머니의 죽음에도 다른 사람들처럼 슬퍼하지 않는 그는 무덤덤하게 장례식을 마친 이후에도 아무런 감정의 동요 없이 평소와 다름 없는 일상을 이어간다. 이웃 레이몽과 개를 키우고 있는 살라마노 영감을 만나고 애인 마리와 영화도 본다. 이토록 무감각적 인간인 뫼르소에게 문제의 사건이 발생한다. 사건의 발단은 마리, 레이몽과 해변으로 놀러 간 날, 그곳에서 아랍인들과 시비가 붙게 되면서부터다. 가까스로 큰 다툼을 피했지만 뫼르소 혼자 산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