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문화재단은 오는 11월 2일 동서양 현악기의 특별한 만남 ‘첼로가야금 2.0 콘서트’를 용인문화예술원 마루홀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2024년 순수예술을 통한 전국 공연장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우수한 창‧제작 작품을 선정해 전국 국‧공립 공연장에서 공연을 개최함으로써 국민의 문화 향유권 확대와 사각지대 없는 공연 유통 기반을 마련한다. 연주를 펼칠 ‘첼로가야금’은 한국계 오스트리아인 첼로 연주자 김솔 다니엘과 한국인 가야금 연주자 윤다영이 독일 베를린에서 결성한 예술 단체다. 2016년부터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폴란드 등의 세계적인 공연장과 페스티벌에서 공연 한 바 있으며, 2017년부터는 국내에서도 2021년 한국-네덜란드 수교 60주년 기념행사 및 2023년 주이탈리아 한국 문화원 주관 행사 등에 공식 초청됐다. 2018년엔 수림문화상을 수상했고 2020년엔 정동극장 청춘만발 올해의 아티스트에 선정됐다. ‘첼로가야금’은 조선시대 저잣거리의 느낌을 첼로와 가야금의 퍼커시브(기타 연주에서 현을 때리거나 잡아 뜯으면서 내는 연주법)로 표현한 ‘한양’, 컨트리‧블루스 등 20세기 미국 음악의 스토리텔링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유인택)은 지난 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경기도와 고양특례시, 서울특별시와 함께 ‘한양도성·북한산성·탕춘대성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사무실을 개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로써 그동안 고양시와 서울시를 오가던 등재 특별(TF)팀은 프레스센터에 독립 사무실을 열고 ‘등재추진단’으로 개편,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할 수 있게 됐다. ’한양도성·북한산성·탕춘대성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개소식에는 홍성덕 경기도 문화유산과장, 서은원 고양시 문화예술과장, 이지훈 경기문화재연구원 원장, 김홍진 서울시 문화재관리과장 등이 참석했다. 한양도성·북한산성·탕춘대성 세계유산 등재추진은 유산별로 각기 따로 추진돼 오던 것을 2021년 ‘통합등재추진 실무협의회’에서 2022년 ‘통합등재 TF팀’ 운영으로 구체화되고 2022년 12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에서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에 선정됨으로써 점차 탄력을 받고 있다. 이지훈 경기문화재연구원장은 “여러 기관이 함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에 대한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은 물론,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 기준에 부합하는 유산 보존관리체계 마련이야말로 진정한 세계유산을 준비해가는 과정이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7월 23일 개막해 8월 8일 폐막한 2020 도쿄올림픽. 연일 들려오는 대한민국 양궁대표팀의 금빛 소식은 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된 국민들의 우울함을 날려주기에 충분했다. 혼성 단체전 초대 챔피언의 자리부터 여자 단체 9연패, 남자 단체 2연패, 안산 선수의 올림픽 역사상 첫 3관왕까지, 이 정도면 한국인들의 몸 안에는 양궁에 대한 특별한 무언가가 있는 듯하다. 하지만 이런 인기나 존재감은 올림픽이 끝나면 금세 국민들의 머릿속에서 사라진다. 언제까지 비인기 종목의 숙명인 4년에 한 번 인기에만 목을 맬 수 없는 노릇이다. 경기도, 나아가 대한민국 양궁의 발전과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의 꾸준한 관심과 참여가 밑바탕이 돼야 하지 않을까? 백종대 수원시양궁협회장(주식회사 파이빅스 대표이사)과 함께 양궁의 다양한 종목과 현주소를 살펴봤다. <편집자주> 앞서 양궁의 역사와 기본이 되는 활, 화살, 핑거탭 등 용구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제 즐길 수 있는 양궁에는 어떤 종목이 있는지 살펴보자. 백종대 수원시양궁협회장은 “세계양궁협회 홈페이지를 보면 다양한 양궁의 종류를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타깃 아처리만 하고 있지만, 인도어 아처리, 필드 아처
7월 23일 개막, 8일 폐막한 2020 도쿄올림픽. 연일 들려오는 대한민국 양궁대표팀의 금빛 소식은 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된 국민들의 우울함을 날려주기에 충분했다. 혼성 단체전 초대 챔피언의 자리부터 여자 단체 9연패, 남자 단체 2연패, 안산 선수의 올림픽 역사상 첫 3관왕까지, 이 정도면 한국인들의 몸 안에는 양궁에 대한 특별한 무언가가 있는 듯하다. 하지만 이런 인기나 존재감은 올림픽이 끝나면 금세 국민들의 머릿속에서 사라진다. 언제까지 비인기 종목의 숙명인 4년에 한 번 인기에만 목을 맬 수 없는 노릇이다. 경기도, 나아가 대한민국 양궁의 발전과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의 꾸준한 관심과 참여가 밑바탕이 돼야 하지 않을까? 백종대 수원시양궁협회장(주식회사 파이빅스 대표이사)과 함께 양궁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편집자주> 첫 번째 순서로 기획한 것은 양궁의 역사다. 우선 양궁은 1538년 무렵 헨리 8세에 의해 영국 전역에 보급됐으며, 오락용 경기로서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1900년 제2회 파리올림픽에서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양궁은 1904년 미국 세인트루이스올림픽, 1908년 런던올림픽을 거쳐,
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5명 발생했다고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밝혔다. 이틀 연속 300명대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285명, 해외유입이 20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107명(지역발생 104명), 경기 92명(지역발생 89명), 인천 11명(지역발생 11명) 등 수도권이 210명이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전날 기준으로 IM선교회와 관련해 총 379명이 확진됐다. 서울 한양대병원 누적 확진자는 31명, 서울 보라매병원에서는 현재까지 5명이 확진됐다. 이 밖에 경기 안산시 어학원-어린이집 사례에서는 지난달 20일 이후 총 29명이 감염됐고, 남양주시 보육시설 사례에선 총 14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5명 늘어 누적 1425명이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82%다. 이틀 연속 300명대를 나타내 지난주보다는 감소하는 추세로 보이지만, 이는 휴일 검사 건수가 평일 대비 대폭 줄어든 영향이 큰 것으로 보여 아직 확산세가 꺾인 것으로 보기는 이르다. IM선교회발(發) 집단감염에 더해 교회, 대형 종합병원, 요양시설, 가족·지인모임, 체육시설, 직장 등을 고리로 산발적 감염이 잇따르고 있다. 정부는 기
한국건강관리협회가 1월호 건강소식을 통해 몽유병에 대한 노성원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 조언을 전했다. Q. 몽유병이란 무엇인가? A. 몽유병은 대개 수면 초기 1/3동안 깊은 잠에서 불완전하게 깨어 돌아다니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병이며, 수면보행증(sleep walking)이라고도 한다. 수면을 시작한 후 초기에는 주로 안구를 움직이지 않는 비렘수면(non-REM sleep)을 하게 되는데 이때 우리 몸의 근육은 긴장도가 높아지며 움직임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몽유병이라는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꿈은 꾸지 않는다. 참고로 꿈은 렘수면(REM sleep)때 꾸게 되고 이때에는 우리 몸의 근육은 긴장도가 감소한다. 렘(REM, rapid eye movement) 수면 시기에는 이름처럼 신속한 안구운동이 일어나지만, 그 외의 몸은 움직이기 어렵다. Q. 몽유병에 걸리는 원인은 무엇인가? A. 몽유병 환자의 80%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을 보면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유전병은 아니며 진정제 복용, 수면 박탈, 수면리듬의 이상, 피로, 신체적 또는 감정적 스트레스가 몽유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어린이에게 흔하게 발생하고, 나이가 들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이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관장 차재혁)과 학계의 연구 증진 및 전시 자료 구축을 도모하는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국립현대미술관과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은 지난 14일 국립현대미술관 대회의실에서 업무 협약식을 맺었다. 이번 협약식은 근·현대 문학과 미술 분야의 도서 및 자료를 공유함으로써 학계 연구 증진과 전시자료를 구축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협약을 통해 한양대학교 백남학술정보관은 구름재서재 자료 일부를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한다. 구름재서재는 한글 전용의 선구자였던 현대시조시인 구름재 박병순(朴炳淳, 1917~2008) 선생이 1994년부터 2007년까지 한양대학교에 기증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설한 문고이다. 이번에 기증받은 자료들은 김환기, 천경자, 박고석, 장욱진, 한묵 등 근·현대 화가들의 표지화가 그려진 문학잡지 20종 총 1916권이다. ‘현대문학(現代文學)’, ‘문맥’, ‘문학사상(文學思想)’, ‘한국문학(韓國文學)’, ‘현대시학(現代詩學)’, ‘시도(詩圖)’, ‘시문학(詩文學)’, ‘표현(表現)’ 등을 비롯해 근·현대 서예가들에 의해 제호(題號)가 쓰여진 ‘문예(文藝)’, ‘시조문학
한 달에 한 번씩 여성들을 괴롭히는 질병, 월경전증후군. 그 증상은 매우 다양하지만 진단이나 치료법은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형편이다. 일상마저 방해하는 월경전증후군에 대해 이원무 한양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자세히 설명해준다. - 월경전증후군이란? ▶가임 연령기 여성들에게서 월경 주기(배란 후 황체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증상이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병인, 진단이나 치료도 아직 정확히 확립되지 않았다. 미국 산부인과학회에서는 월경전증후군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정서 및 신체 증상(월경전증후군의 증상 참조)이 최소 한 개 이상 있어야 하고, 월경 시작 전 5일 동안, 이전의 3회 생리주기에서 증상이 나타나야 하고, 생리 시작 후 4일 이내에 증상이 사라져야 한다. 또 향후 2~3회의 생리주기에서 같은 모습이 반복돼야 한다. - 주요 원인과 증상은? ▶원인에 대한 많은 가설들 중 프로제스테론 부족 또는 감소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는 월경전증후군이 프로제스테론이 감소하는 황체기 후반에 심해지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체액 저류, 비타민 B6 결핍, 프로스타글란딘, 저혈당증, 고프로락틴증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피로감, 우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