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대선후보를 뽑을 `경선 룰‘ 논의가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대통합신당 창당일인 다음달 5일부터 선거인단 모집에 착수키로 하는 등 몇 가지 추가 조율이 이뤄졌지만 핵심쟁점들은 주자별로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탓에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열린우리당 탈당그룹과 시민사회 인사로 구성된 `국민경선추진협의회‘(국경추)는 30일 각 진영 대리인 회의에서 내달 5일부터 선거인단 모집 일정에 들어가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규 당원의 경우 입당원서에 경선 참여 의사를 기재토록 했고 우리당 출신 등 승계 당원에 대해선 일일이 참여의사를 확인토록 했다. 일반 국민에 대해선 대규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전화, 인터넷, 우편, 팩스 등 다양한 채널을 열어두기로 했다. 그러나 여론조사 반영, 모바일 투표, 선관위 위탁 여부와 지역별 가중치 조정 등 주자간 이해득실이 첨예하게 엇갈린 핵심쟁점에 있어서는 서로간 입장차만 확인한 채 결론 도출에 실패, 신당내 국민경선추진본부로 `공‘이 넘어가게 됐다.
우선 여론조사와 관련, 범여권 지지도 1위인 손 전 지사측이 민심을 반영해야 한다는 이유로 도입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지만 나머지 진영에서는 엄밀한 의미의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취지에 어긋난다며 반대하고 있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 등 일부 진영이 제안한 `모바일 투표‘ 도입도 취지에는 대체로 공감하는 분위기이나 이중투표, 간접투표 등의 부작용 우려때문에 합의가 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자릿수 범위에서 반영하는 방식 등 부분도입이 검토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선관위 위탁과 관련해서도 위탁할 경우 조기에 선거인단 명부를 확정해야 하기 때문에 선거인단의 대규모 모집이 어렵다는 반대론이 적지 않아 기본적으로는 선관위에 위탁하되, 추가 모집되는 선거인단에 대해선 당이 관리하는 `부분위탁‘ 방안이 절충안으로 제시됐지만 이에 대해 선관위가 아직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늦어도 다음달 안으로 실시될 예정인 컷오프(예비경선)의 방식과 시기에 대한 논의도 뒤로 넘겨졌으나 `1차 관문‘인 컷오프의 룰을 놓고서도 주자간 신경전이 팽팽하게 전개되고 있다.
손 전 지사측은 컷오프에서도 여론조사와 선거인단 비율을 절반 가량씩 반영할 것을 제안했으나 상대적으로 조직면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정동영 전 의장측은 선거인단의 비율을 높이자고 맞서고 있다. 이와 함께 컷오프 직전까지 모집된 선거인단 중 1만명 가량을 무작위로 추출, 여론조사나 투표를 하는 방식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