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칭 미래창조대통합민주신당의 세력 분포와 지분 구성을 놓고 몇몇 예비주자 진영이 “사실상 ‘손학규 신당’”이라며 반발하는 등 논란이 가열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는 손 전 지사 지지조직인 선진평화연대(선평련)가 신당 중앙위원과 실무당직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시·도당창당과정에서 세력을 넓히고 있는 것이 빌미가 됐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진행된 창당 실무협의 결과 선평련은 전체 중앙위원 200여명 중 50여명, 실무 당직자 30명 가운데 8명을 차지하게 됐다. 나머지 실무 당직자 22명의 배분은 우리당 출신 8명, 시민사회 출신 8명, 민주당 출신 6명 등이다.
이 때문에 신당의 내용이 결국 손 전 지사를 후보로 내세우고 여타 주자들을 들러리로 만들려는 게 아니냐는 불만과 의혹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동영 전 의장의 측근 의원은 지난달 31일 “정 전 의장은 처음부터 당직자 인선 등에 개입하지 말라고 캠프 소속 의원들에게 지시했고, 그 결과 한 명도 참여하지 못했다”면서 “반면 선평련은 겉으로는 기득권을 버리기 위해 공동 창준위원장을 안 맡겠다고 해놓고 밑으로는 지분 챙길 것은 다 챙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예비주자인 김혁규 의원은 최근 정세균 열린우리당을 만난 자리에서 “신당이라는 게 결국 ‘손학규 당’을 만들려고 하는 것 아니냐”며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했다고 한 의원이 전했다.
한명숙 전 총리측도 “열린우리당 당적을 갖고 있는 주자들의 경우 시도당 창당 등에서 배제되는 데 대한 불만이 있을 수 밖에 없다”면서 “범여권이 ‘작은 대세론’에 갇혀 특정인에 힘을 실어주는 것으로 외부에 비쳐질 수 있다. 손 전 지사는 모든 기득권을 다 버리고 대통합 밀알이 되겠다는 당초 약속에 충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손 전 지사측 이수원 공보실장은 “지금 논란의 중심은 시민사회와 정치권이 1대1로 지분을 나눠야 하느냐 하는 점이지 우리쪽에서 지분 싸움을 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여타 주자의 네거티브 공세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을 생각이며, 국민에게 희망과 비전을 주는 정책 제시에 주력하겠다”고 반박했다.
한편 손 전 지사는 이날 2차 민심 대장정 지역인 전북 고창 봉덕마을에서 고추를 함께 수확한데 이어 고창군 아산면 선운산 도립공원에서 열린 전북 농업경영인대회에 참석한 뒤 상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