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당 통합과 후보등록 前 대선후보 단일화 원칙에 합의한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은 15일 구체적인 합당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실무 협상에 착수했다.
신당 문희상 상임고문을 단장으로 하는 신당측 협상단과 민주당 최인기 원내대표를 단장으로 하는 민주당측 협상단은 전날 양측 단장들끼리의 상견례를 가진 데 이어 이날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첫 공식회의를 갖고 협상안 조정 작업을 개시했다.
실무협상에서는 지난 12일 양당이 ▲지도부와 심의기구인 최고위원회 구성을 50대 50으로 하고 ▲전당대회를 총선 이후인 내년 6월에 개최키로 합의한 부분을 놓고 팽팽한 힘겨루기가 벌어졌다.
특히 양당은 오는 19일까지 합당등록 신고를 마치고 20일 이전에 2차례 TV토론을 개최한 뒤 23∼24일 가상대결 방식의 여론조사를 통해 후보를 단일화한다는 시간표를 갖고 있어 늦어도 18일까지는 실무협상을 마무리해야한다.
통합협상을 둘러싼 신당내 갈등은 일단 봉합됐지만 원내 140석인 신당과 8석인 민주당이 동등한 지분을 갖는다는 합의가 과도하다는 불만이 나오고 있고, 전대 시기를 6월로 미룬 것을 놓고도 “현 지도부와 대선후보가 총선 이후까지 당 운영의 주도권을 유지하겠다는 것 아니냐”는 반발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어 진통이 커지고 있다.
한편 신당은 민주당과의 통합과는 별개로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측에 후보단일화 협상에 응할 것을 촉구하며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삼성비자금’ 특검법 공동발의를 통한 ‘반부패연대’가 현실화됨에 따라 이를 선거연합으로 이어가겠다는 것이다.
특히 전날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이 “문국현씨까지 포함해서 모두 다 연합으로 대통령을 당선시켜야 한다”며 ‘선거연합’을 주문하고 나선 것을 계기로 단일화 추진의 속도를 높이는 분위기다.
문 후보는 이날 아침 MBC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가치중심으로 정치세력이 모여야지, 새로운 세력들을 억지로 과거세력에 붙이는 것은 옳지 않다”며 단일화에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