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대통합민주신당 내에서 새 대표로 손학규 전 경기지사를 합의 추대하는 방안을 놓고 논란이 격화되고 있다.
이는 수도권 초·재선과 386 그룹을 중심으로 손 전 지사를 당의 새 간판으로 내세워 총선을 치르자는 주장이 다수를 형성하고 있으나 정대철 상임고문과 김한길 의원 등은 내달 3일 전당대회에서 경선을 치러야 정통성 있는 지도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특히 원칙적으로 경선을 통해 새 지도부를 뽑아야 한다는 주장에 이해찬 전 국무총리와 천정배 의원, 추미애 전 의원 등이 동조하고 있고 전면적인 당 쇄신을 주장하고 있는 일부 초선 그룹도 합의추대를 하더라도 외부인사로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어 ‘손 추대론’에는 부정적인 상황이다.
손학규 대선후보의 경선 선대위에서 대변인을 지낸 우상호 의원은 2일 “합의 추대든 경선이든 손 전 지사 개인의 정치적 계산으로만 보면 손해이고 독배”라며 “손 전 지사 입장에서 경선을 한다면 나갈 생각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수도권의 다른 초선의원도 “이미 대세는 기울었는 데 경선 갖고 떼를 쓰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반면 정대철 고문은 “합의 추대로 가면 일생 일대의 정치적 망신이 될 것”이라며 “30년 정치를 하면서 지켜본 바로는 추대라는 것이 가장 좋지 않은 방향”이라고 비판했다.
당 지도부와 쇄신위원회는 사실상 합의추대 쪽으로 가닥을 잡았고 최고위원회-상임고문단 연석회의나 외부인사기구를 통해 추대하는 문제를 놓고 당내 의견수렴에 나설 방침이나 효과가 있을 지는 미지수다.
쇄신위 간사인 김교흥 의원은 “일단 합의 추대로 거의 가닥을 잡아가고 있어 바꾸기는 힘들 것 같다”면서도 “하지만 당헌·당규상 경선을 하도록 돼있기 때문에 후보가 2인 이상이 되고 합의추대가 깨지게 되면 경선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