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간 통합 논의가 수면 위로 재부상했다.
민주당 박상천 대표는 22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중도개혁통합정당 건설’을 내걸고 ‘설 이전 통합’을 신당에공식 제안했으며, 신당 우상호 대변인은 공식 논평을 통해 “정책 노선이 유사한 정치세력간 통합을 이뤄 강력한 야당을 재건해야 한다는 취지에 동의한다”고 화답했다.
지난해 11월 대선을 앞두고 당시 양당 대표와 대선후보는 전격적으로 ‘후보단일화 및 통합’을 선언했으나 이후협상과정에서 공천심사특위 구성비율, 지분문제 논란 등이 불거지면서 통합협상이 한 차례 좌초한 바 있다.
하지만 대선 참패 이후 범여권 생존을 위해선 “통합과 쇄신만이 살 길”이라며 양당 내에서 끊임없이 통합론이제기돼 왔고, 신당과 민주당 모두 총선에서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 의식이 커지면서 양당 통합론이 다시 공론화의 단계로 접어든 것이다.
정치권 내에서는 양당이 한차례 통합 협상에서 실패했던 터라 최종 성사 가능성에 대해선 반반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양당의 텃밭이 호남이라는 점에서 호남 공천 지분을 둘러싼 양당간 다툼이 본격화될 경우 통합협상은 ‘자리 나눠먹기’, ‘지분 싸움’으로 변질되면서 통합협상을 안하니만 못하다는 평가가 나올 수 있다.
벌써부터 신당내 호남 현역의원과 민주당 호남 원외인사들 사이에서는 마뜩찮아 하는 표정이 감지되고 있다.
신당의 광주지역 한 의원은 “합당하자는 박 대표의 제안은 긍정적이나 제안의 내용이 산뜻하지 않아 답답한 측면이 있다. 다시 통합 실패의 전철을 밟는다면 안 하는 게 낫다”고 밝혔다.
민주당의 한 원외인사는 “이번 총선은 야당을 결정하는 선거”라며 “현재 범여권 진영에서 가장 많은 기득권을가진 정당은 신당인 만큼 신당이 더 많은 자기희생의 결단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동교동의 의중도 변수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선을 앞두고 범여권 대통합을 강조하면서 대통합민주신당 창당에 힘을 실어줬고, 지난해 11월 신당과 민주당간 후보단일화 및 통합 협상에 대해선 “시간이 너무 늦은 만큼 연합으로 가는 게 낫다”며 부정적인 의사를 표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총선을 앞두고 진행되는 양당 통합협상에 대해 김 전 대통령이 어떤 평가를 내리는가에 따라 통합협상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오는 24일 손학규 대표가 동교동 자택으로 김 전 대통령을 방문하는 것에 관심이 모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