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의 19일 총선 후보자 공모를 앞두고 당 지도부와 박재승 공천심사위원장 간 미묘한 긴장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이는 통합 합의 과정에서 손학규, 박상천 대표가 비례대표 선정을 별도 기구에 맡기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으나, 정작 박 위원장은 비례대표 추천권도 공심위에 부여하는 방안을 손 대표에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박 위원장은 18일 CBS라디오 ‘뉴스레이다’에 출연, “지역구와 비례대표가 조금 다르고 비례대표의 경우 정치적측면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큰 틀에서 보면 국민 여망이라는 기준을 벗어날 수 없다고 본다”며 “따라서 이론적으로 같은 잣대를 갖고 하는 게 맞다. 구별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당 지도부 핵심관계자는 “여러가지 정치적 고려와 배려를 통해 해야 하는 것이어서 그런 요구는 무리”라며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공심위 결정에 최고위원회의가 이의를 제기해 발생하는 재심 절차에 대해서도 입장이 엇갈렸다.
당 지도부는 공심위의 재심 의결 정족수를 3분의 2로 강화하자는 주장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박 위원장은 의결정족수를 2분의 1로 해 공심위의 원안을 최대한 존중토록 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위원장은 지난 주말 손 대표를 만나 “재심 요청이 남발돼선 안된다”며 이같은 입장을 전달했다는 후문이다. 그는 “‘3분의 2’는 안된다고 말씀드렸고 손 대표도 공감했다”고 전했다.
앞서 박 위원장은 당헌상 최고위가 공심위 결정에 대한 의결 권한을 갖도록 돼 있는 것을 바꿔 최고위가 공심위 결정을 원안 그대로 인준하되 이견이 있을 경우 재심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개정해달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당 관계자는 “공심위 독립성 보장 등 박 위원장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는 쪽으로 세부규정을 다듬으려고 한다”며 “다만 비례대표 추천기구는 별도로 두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양측의 ‘기싸움’에는 박 위원장이 휘두르고 있는 공천쇄신의 칼날이 어디까지 향할지 모른다는 당내 불안감과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있다.
여기에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통합에 따라 민주당 몫 배려 등 당으로선 정치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도 적지 않게 얽혀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