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민주당과 한나라당,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19일 정부조직 개편 협상 결렬의 책임을 놓고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여론전에 나서면서 정국대치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무위원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역시 파행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새 정부 조각이 늦춰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청와대는 이날 국정공백을 막기 위해 참여정부 마지막 장관들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유임시킨 뒤 차기정부에 그대로 사표 수리를 넘기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이명박 당선인측에도 이같은 입장을 전달했다.
이런 가운데 이명박 당선인측과 인수위는 언론매체를 활용해 ‘비상조각’ 단행의 불가피성을 적극 홍보하는 여론전에 나서는 한편, 21일 새 정부 국정운영 과제에 대한 예비 당정협의를 갖기로 하는 등 강공 드라이브를 이어갈 태세여서 민주당측과의 정면 충돌이 불가피하게 됐다.
민주당과 한나라당은 이날 ‘대화’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않았지만, 조직개편 협상 결렬 책임을 놓고 상대방에 책임을 돌리며 날선 공방을 벌였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한나라당이 소수당이라는데 대해 비애를 느낀다. 최근 여성가족부와 농촌진흥청까지 양보할 의사를 내비쳐서 협상이 거의 완료단계에 있었는데 마지막에 갑자기 해양수산부를 갖고 나와서 끝까지 발목을 잡은 민주당의 횡포는 너무 심하다”며 “국민이 당선시킨 대통령을 일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탄핵과 뭐가 다르냐”며 손학규 대표를 비난했다.
반면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조각발표 강행과 관련, “어제 저녁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했다”면서 “이것은 한 마디로 민주주의를 하지 않겠다는 얘기며, 야당을 국정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자세”라며 이 당선인측을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은 또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동영 대선후보에 대한 소환장 발부 및 현역의원, 실무자에 대한 검찰의 소환 조치를 “명백한 야당탄압이자 정치보복”으로 규정하고 강금실 최고위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대책위를 구성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