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로 예정된 한승수 총리 후보자 임명 동의안 표결을 앞두고 정치권의 긴장도가 높아지고 있다.
당초 통합민주당은 한 총리후보자가 장관 등 여러 고위직을 거쳐 별다른 결격 사유가 없으리라며 무난한 인준안 통과를 예상하는 분위기였으나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재산신고 누락 등 중대한 결함이 드러났다”면서 ‘부적격’쪽으로 흐름을 잡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한 후보자가 2002년 재산변동 신고 때 2001년에 구입한 현대 슈퍼빌 분양권을 신고하지 않아 공직자윤리법을 위반했고, 이후 2004년 5월까지 세 차례나 바로잡을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신고를 누락해 명백하게 현행법을 위반했다며 “인준안이 부결될 수 있다”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
야당인 민주당이 141석의 원내 제1당인데다 9석을 가진 민노당까지 가세하면 과반을 넘겨서 인준안을 부결시킬수 있다. 민노당 역시 한 총리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인 기류가 우세하며, 26일 당 혁신비대위를 열어 표결 방향을 결정하기로 했다.
이미 이춘호 여성부장관 내정자가 재산관계로 사퇴하는 바람에 국무회의 구성이 차질을 빚게 됐고, 민주당이 남주홍 통일, 박은경 환경부 장관 내정자 교체까지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 총리 후보자 인준안까지 부결된다면 정국은 격렬한 대치로 치달을 전망이다.
민주당은 25일 오전 당산동 당사에서 정세균 총리후보 인사청문회 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한 총리 후보자에게 상당히 심각한 부적격 사유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우상호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하지만 민주당은 새 정부 출범의 첫 단추인 총리 후보자 인준안을 ‘구속적 당론’으로 부결시킬 경우 총선에서 ‘정권 안정론’에 힘을 실어주는 역풍을 초래할 가능성 때문에 고심중이다.
또 무기명으로 실시되는 인준표 결의 특성상 부결 당론을 정했을 때 이탈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민주당이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총리인준 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지 않고 26일 오전 원내대책회의와 의원총회에서 결론을 내기로 한 것도 그같은 고민이 반영된 것.
민주당 핵심 당직자는 “부적격 강제당론, 부적격 권고당론, 자유투표 등 세가지 방안 중에서 고민중인데 아마도 부적격 권고당론으로 갈 가능성이 높지 않은가 싶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야권의 강경기류가 감지되자 한나라당은 새 정부 초대 총리 인준안이 부결될 경우 국정운영에 심각한 차질과 파행이 초래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민주당을 압박하는 동시에 당 소속 의원들의 26일 본회의 출석을 독려하는 등 표 단속에 나섰다.
한나라당은 친분이 있는 민주당 의원들을 상대로 대면 설득에 나서기로 했고, 안상수 원내대표가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직후인 이날 오후 민주당 김효석 원내대표와 회동을 갖고 협조를 요청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