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맑음동두천 21.9℃
  • 구름조금강릉 21.3℃
  • 맑음서울 22.4℃
  • 구름많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3.7℃
  • 광주 23.1℃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2.9℃
  • 제주 25.1℃
  • 맑음강화 21.3℃
  • 구름많음보은 21.7℃
  • 구름많음금산 22.3℃
  • 흐림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많이 태어나도 출산율 여전히 바닥

통계청 ‘2007년 출생통계 잠정결과’ 발표

우리나라 출생아 수가 쌍춘년, 황금돼지 해 등의 영향으로 2년 연속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출산율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인 조출생률도 4년만에 10명을 넘어섰고, 여자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출산율도 2005년 저점을 찍은 뒤 2년째 상승했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7년 출생통계 잠정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태어난 총 출생아 수는 49만7천명으로 전년(45만2천명) 보다 4만5천명 증가했다.

이는 2006년(1만3천명)에 이어 2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출생아수는 1994년 72만9천명 이후 계속 줄어들다 ‘밀레니엄 베이비 붐’이 일었던 2000년 63만7천명으로 반짝 늘어났지만 다시 2001년 55만7천명, 2002년 49만5천명, 2003년 49만3천명, 2004년 47만6천명, 2005년 43만8천명 등으로 계속 감소했었다.

통계청은 한국전쟁 이후 태어난 사람의 자녀가 혼인·출산 연령기에 도달하면서 제3차 베이비붐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데다 2006년은 입춘이 두 번 있어 결혼하면 좋다는 쌍춘년(雙春年)이었고, 지난해는 태어난 아기가 부자가 된다는 ‘황금돼지 해’라는 점이 출생아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출생아 증가로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도 지난해 10.1명으로 2003년(10.2명) 이후 4년 만에 10명을 넘어섰다.

조출생률은 1999년 13.2명에서 2000년 13.4명으로 반짝 상승세를 보인 뒤 2001년 11.6명, 2002년 10.3명, 2003년 10.2명, 2004년 9.8명, 2005년 9.0명까지 하락했다가 2006년 9.2명, 지난해에는 10.1명으로 다시 2년 연속 증가했다.

여자 1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2005년 1.08명을 저점으로 2006년 1.13명, 지난해 1.26명으로 2년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합계출산율이 2년 연속 상승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일본(1.32명·2006년), 미국(2.10명·2006년), 영국(1.84명·2006년), 프랑스(1.96명·2007년), 독일(1.33명·2006년), 이탈리아(1.35명·2006년) 등보다 낮아 세계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출산한 여성의 평균출산연령은 30.6세로 전년에 비해 0.2세 높아졌고 10년 전인 1997년의 28.3세에 비해서는 2.3세 올라갔다.

이 중 첫째 아이를 낳은 연령은 29.4세로 전년보다 0.2세 늘었고 10년 전에 비해서는 2.5세 높아졌다. 출산연령이 올라가면서 지난해 30대 초반(30~34) 연령층의 출생아 수가 20만8천명으로 전년보다 1만8천명 늘면서 출생아 수 증가에 가장 많이 기여했다.

또 20대 초반(20~24)과 20대 후반(25~29) 연령층의 출생아 수는 그동안 감소세를 이어왔으나 전년에는 각각 1천명, 1만4천명 늘면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30대 초반의 출생이 전체 출생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9%로 가장 높았고 이어 20대 후반(38.0%), 30대 후반(11.7%), 20대 초반(6.4%) 등이 뒤를 이었다.

1997년에는 20대 후반의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이 54.5%, 30대 초반은 22.3%였으나 10년 만에 20대 후반은 16.5%포인트 줄었고 30대 초반은 19.6%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태어난 아이가 첫째인 경우는 26만4천명으로 전년보다 13.3%(3만1천명) 늘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아의 증가율은 6.4%, 셋째아 이상의 증가율은 7.0%를 각각 기록했다. 아울러 전체 출생 가운데 첫째아의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이 53.5%로 전년보다 1.5%포인트 증가했으며 10년 전에 비해서는 5.1% 확대됐다.

반면 둘째아의 비중은 37.1%로 전년보다 1.4%포인트 줄었고 10년 전보다는 4.8%포인트 줄어 외동아들과 외동딸의 비중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