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대 국회의원 선거가 3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 각 정당은 이번 주에 공천 후보자를 확정하고 총선 총력 체제로 전환할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새 정부의 ‘실용·변화’ 정책노선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기 위해서는 과반 의석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국정 안정론’을 펴고 있고, 민주당은 중앙 및 지방 정부, 지방 의회를 장악한 ‘슈퍼 여당’을 견제하기 위해 개헌 저지선 이상의 원내 의석 확보가 필요하다는 ‘견제론’으로 맞서고 있다.
당초 이번 총선은 한나라당의 압도적 우세 속에서 치러질 것으로 예상됐으나 장관인사 파동, 정권인수 과정의 정책혼선 등으로 여권의 지지세가 하락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공천쇄신 등으로 상승세로 돌아서 선거판도의 변화 여부가 주목된다.
우선 한나라당은 서울과 영남권 등 남은 지역의 공천 후보자를 조만간 확정짓고 오는 17일께 총선 중앙선대위와 상황실을 발족하면서 본격적인 총선체제로 전환한다.
한나라당은 이번 총선에서 ‘160석±α’의 과반의석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물가안정, 규제완화,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 지원 등 ‘경제 살리기’에 초점을 맞춘 공약을 내세울 계획이다.
금주중 지역구 공천작업을 마무리지을 예정인 민주당은 ‘70∼100석’ 정도의 의석을 확보, 정권을 견제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야당’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총선목표를 설정했다.
민주당은 인사와 정책 등 새 정부 초기의 국정운영 난맥상을 지적하고 물가와 사교육비, 대학등록금 등 서민생활 부담 완화를 기조로 한 정책공약을 내세워 ‘수권 야당’의 입지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자유선진당은 이회창 총재가 충남 예산·홍성에 출마하는 등 상대적 강세 지역인 충청권에 ‘올인’함으로써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민주노동당도 정당득표율 15% 이상 확보를 통해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심상정·노회찬 의원이 창당을 주도하고 있는 가칭 ‘진보신당’은 지역구 20석, 비례 10석 등 30석의 원내의석 확보를 목표로 세우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