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건강] 귓속의 불청객 ‘이명증’

하루종일 윙윙… ‘귀가 막혀’

이명증은 귀속이나 머릿속에서 벌레우는 소리, 바람 소리, 기계 돌아가는 소리, 휘파람 소리, 맥박 소리, 망치 소리 등을 느끼는 것으로 팔·다리의 통증이나 두통과 같은 증상 정도로 보면 된다. 일과적인 이명증은 90% 이상이 경험할 정도로 흔한 현상 중의 하나로 이중 20% 정도가 이명증으로 인해 생활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명증 원인

이명증은 내이, 청신경, 뇌 등의 소리를 감지하는 신경 경로와 신경 계통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과민 반응을 빚는 현상이다. 소음에 의한 내이 손상은 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음악가, 항공기 조종사 등에 많고 교통사고, 머리외상 후에도 내이에 외상을 입어 일으키기도 한다. 신경의 노화 원인에 의한 노인성 난청 이명은 주위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다. 또 메니에르씨 병에서는 발작적인 심한 어지러움, 청력 감퇴 등이 이명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 흔하진 않지만 청신경에 생긴 종양이 이명을 일으킬 수도 있어 이명증 환자에 대해 자기공명영상(MRI)이나 뇌간유발검사 등을 하고 있다. 또 외이도 내의 과도한 귀지, 귀 또는 부비동의 감염, 턱 관절의 교합장애, 심혈관계 질환, 이경화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명증 치료

보청기 착용은 이명을 경감시키는 도구로 사용돼 왔고 청력소실이 같이 있는 이명증 환자에 있어서 효과적이며 차폐 장치 착용은 외부에서 신경에 거스르지 않을 정도의 음을 지속적으로 줌으로써 이명을 느끼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이명을 경감시키거나 이명증에 따른 우울, 불안이나 수면 장애를 극복하게 도와주는 약제, 내이의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약제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약제가 현재 개발 중에 있다.

또 신체와 정신적 긴장을 이완을 통해 긴장 해소를 꾀하는 바이오 피드백과 전기자극, 최면 요법 등 치료방법이 있다.

또 최근에 개발된 치료법으로 이명 재훈련 치료, 이명의 습관화를 들 수 있다. 치료 성공률이 높은 이 치료방법은 이명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상담과 교육이 필요하다.

치료는 두 단계로 이뤄지며 이명에 대한 그릇된 생각이나 이명에 동반된 정서불안 등 상담과 교육을 통해 해결하는 1차 단계와 이어 2차 단계로 불필요한 소리를 걸러내며 뇌 기능을 촉진시키는 습관화 단계가 있다.

우리 뇌는 소리를 분류하는 특성이 있다. 위험 상황을 암시하는 소리처럼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소리는 뇌의 처리과정 중 증폭돼 강하게 청각중추를 자극하고 감정이나 본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까지 자극해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긴장 상태를 만들어 이명을 쉽게 느끼게 한다. 때문에 이명증의 치료는 이를 이완하는 것으로 교육과 상담을 통해 이명의 올바른 인식과 이명과 동반된 불안과 우울 등의 정서적인 문제를 해결한 다음, 습관화 과정을 촉진시켜나가는 것으로 12~18개월간 치료가 요구된다.

◇이명증 환자와 숙면

이명증 환자는 수면장애를 겪는 수가 많다. 때문에 이명증 환자는 침실 개념을 밤 잠을 자기 위해서만 사용하고 침실에서 낮잠을 자거나 책을 읽는 것은 피하도록 한다. TV나 VTR도 침실에서 치우는 것이 좋다.

잠자리에 들어 15~20분이 지나도 잠이 오지 않는다면 침실에서 나와 TV나 책을 보거나 따뜻한 우유나 카페인이 없는 차를 마시면서 시간을 보내다 졸음이 오면 침실로 들어 가도록 하고 그래도 잠이 오지 않는다면 다시 침실을 나와 똑같이 반복한다. 또 너무 조용한 분위기를 피하는게 좋다. 이명이 안들릴 정도로 녹음기, 라디오 등을 희미하게 들릴 정도로 켜 놓는 것은 권장할 만하다.

◇이명증 생활 지혜

이명증은 생활 건강을 지켜나간다는 의지만 있으면 어느 정도 피해갈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생활 습관·태도가 중요하다.

큰 소음에 노출되지 말 것, 염분 섭취를 줄일 것, 커피, 콜라·담배 등 신경 자극 물질을 피할 것, 혈액순환을 위해 매일 적당한 운동과 휴식을 취할 것, 이명과 맞서 싸우지 말고 이명을 무시할 것, 스트레스 받는 상황을 피할 것 등은 손꼽히는 지혜다.

(도움말=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이준호 교수)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