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24일 내각에 이어 청와대 수석 비서관들까지 많은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밝혀지자 재산 형성과정에서의 불·탈법 여부를 가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여야는 재산 공개 현황을 놓고 반응에는 온도차를 보였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재산 형성과정에서의 불법 여부를 지켜봐야 하지만 지금은 아무 것도 나온 게 없다”고 했다.
이날 열린 최고위회의에서도 당분간 지켜보기로 하는 등 반응을 자제하는 분위기였다.
다만 모 의원은 “내각 재산 공개 이후 또 허탈해 할 상황이 생긴 것 같다”면서 “불·탈법이 드러나면 교체를 포함한 문제 제기를 해야 한다”고 곤혹스런 반응을 보였다.
반면 통합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역시 강부자 내각 위에는 강부자 청와대가 있었다”며 “땅과 집과 골프 회원권을 사랑하는 분들이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경제정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지적했다.
차 대변인은 “땅과 건물 부자인 이들이 과연 ‘거짓말 뉴타운 공약’에도 불구하고, 뉴타운이 만들어지면서 잔금이 없어 쫓겨나는 서민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을 지 우려된다”고 꼬집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도 “부자가 비난의 대상일 순 없지만 문제는 정당한 방법으로 재산을 형성했느냐는 것으로, 불법·편법으로 축적했다면 국민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 역시 “1% ‘강부자’ 내각과 똑같은 청와대 수석진임이 드러난 데 대해 국민은 소외감을 느낄 것”이라면서 “재산증식 과정을 소명하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