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한나라당은 31일 ‘리앙쿠르 록스’로 명기돼 있는 미국 주요 정부기관의 독도 영문표기를 ‘독도(dokdo)’로 단일화해 표기하는 데 주력키로 했다.
당정은 이날 국회에서 임태희 정책위의장, 정옥임 의원,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의 독도 명칭 및 영유권 표기 관련 후속 대책을 논의한 끝에 이같이 결정했다고 윤상현 한나라당 대변인이 전했다.
당정은 또 미 의회도서관의 독도 주제어 사용을 현행대로 유지하기 위해 미국 내 관련 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하는 등 외교적 노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윤 대변인은 “외교부에 설치되어 있는 독도 태스크포스(TF) 내에도 민간을 포함하는 정기적인 협의체를 구성해 유기적으로 대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 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독도 대응 관련 대책기구를 통합할 필요성에도 공감대를 표시, 조만간 통합작업에 착수키로 했다.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이날 “단기적인 대응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차원에서 독도 명칭이나 기구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며 “정부 내 독도 담당 기구의 활동과는 별개로 지리학회 등의 활동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당정 회의에서 미국 지명위원회(BGN)의 독도 영유권 표기 원상회복 조치와 관련, “주미대사를 중심으로 모든 외교력을 발휘해 원상회복을 위해 노력했다”며 “부시 대통령이 직접 원상 회복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유 장관은 “국민에게 지지받는 외교가 되기 위해선 국민과의 소통과 당정 간 긴밀한 협조가 중요하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정부 차원에서 체제를 재정비하고 민간과의 연계를 강화해 독도 문제를 조직적으로 대응·관리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정부가 앞으로도 독도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주변국의 유사사례에 대한 조사 등을 통해 대응할 것을 정부 측에 주문했다.
한편, 지난주 미 지명위원회(BGN)에 의해 ‘미지정 지역’으로 변경됐던 독도의 영유권 표기가 일주일만인 지난달 30일 ‘한국’과 ‘공해’로 각각 원상회복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