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경제살리기를 통한 일자리창출과 ‘화합과 동반의 시대’를 열기 위한 대규모 사면조치를 15일자로 단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면조치 대상자는 경제인과 정치인 및 생계형 사범 등 34만1천864명이다.
이번 사면에는 경제계에서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회장, 김승연 한화그룹회장, 최태원 SK그룹회장, 손길승 전 SK 그룹 회장, 나승렬 전 거평그룹 회장, 이재관 전 새한그룹 부회장, 최원석 전 동아그룹 회장,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 등 74명이 포함됐다. 정치권에서는 한광옥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비롯해 이훈평 전 민주당 의원과 이양희 전 자민련 의원, 박명환 전 한나라당 의원, 송천영 전 신한국당 의원, 김운용 전 대한체육회장과 권영해 전 안기부장, 권해옥 전 주공 사장, 김용채 전 건교부장관, 김기섭 전 안기부 기조실장, 문희갑 전 대구시장 등 12명이 사면 대상자로 선정됐다.
또 민오기 전 서대문경찰서장과 이재진 전 동화은행장 등 공직자 10명과 김인규 전 마산시장과 김일동 전 삼 척시장, 김종규 전 창녕군수 등 지방자치단체장 12명도 사면·복권됐다. 특히 경인지역에 연고가 있는 사면 대상자로는 박상규 전 의원, 박성규 전 안산시장, 예강환 전 용인시장 등이포함됐다.
이밖에 정부는 이명박 정부 출범 이전 징계처분를 받은 전·현직 공무원 32만8천335명과 선거사범 1천902명에 대해서도 사면 및 복권을 단행했고, 모범수형자 702명을 가석방하기로 했다.
한편 이번 사면조치에 재계 인사들이 대거 포함된 것과 관련,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일각에서 비판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그래서 고심이 많았다”며 “하지만 기업인들이 해외활동에 불편을 겪고,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