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저소득 생계형 노점인 ‘길벗가게’를 대상으로 점검을 한 결과 당초 허가조건과 운영규정을 위반한 노점 9곳에 대해 허가를 취소했다.
시는 그동안 길벗가게 179개소를 대상으로 공개, 비공개 점검을 실시한 결과 대리영업과 임대, 매매 등 위법행위를 한 노점에 대한 실체 확인과 관련자료 채증 등 사실관계 조사를 통해 모두 9곳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고양시 길벗가게가 시와 합의, 탄생하게 된 동기는 지난 2007년 5월, 고양시가 아름답고 살기 좋은 도시로 시민들이 고양시에 사는 만족도가 어느 도시보다 높게 나타나는 등 뉴스위크지에서 선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10대 도시로 꼽힐 정도로 활기차고 발전하는 도시로 부각됐다.
시는 이에 걸 맞는 품격도시를 만들기 위해 4대 기초질서분야인 불법 주정차 및 불법 광고물 등 불법노점상 등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노점상들이 전노련 소속 500명과 함께 시장면담 등을 요하는 등 조직적 폭력화로 반발, 시 홍보 게시판의 유리창을 깨고 이를 저지하는 경찰에게 유리를 던지는 등 과격한 시위과정에서 경찰관 15명이 부상을 당하기까지 했다. 결국 시는 이들 단체와 협의를 통해 길벗 가게 허가조건으로 저소득층의 재산 및 경제적 어려움 등 철저한 검증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이러한 길벗가게가 당초의 약속을 어기고 매매, 임대 등으로 허가가 취소됐다는 것은 비록 일부 이기는 하지만 고양시민을 기만하는 행위이며 당초 저소득층 생계형이라는 이유와 명분이 퇴색되게 됐다.
당시 시민들은 노점상의 폭력현장이 언론에 비추어지는 과정에서 시의 위상이 추락한 것을 안타깝게 생각했다. 그러나 서로가 힘든 과정을 거쳐 지혜롭게 해결하고, 깨끗하고 질서가 잡힌 삶의 터전으로 탄생된 것을 다행으로 생각했다. 특히 이 같은 성과는 전국의 불법노점상 관련 자치단체로부터 성공을 거두었다는 한 사례로 벤치마킹이 이루어지는 등 모범적 사례로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길벗가게가 당초 기본적약속인 매매 및 임대 등의 위법으로 허가 취소 됐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시민들의 마음은 씁쓸하다. 이들 길벗가게들은 앞으로 진정으로 당초 약속을 지키며 서민들의 생계형 수단으로 살아가는 아름다운 삶의 현장으로 거듭 태어나기를 기대하며 더불어 시민들에게 감사할 줄 아는 마음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