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부품연구원(KETI·성남시 분당구 소재)은 자체 기술로 신규 개발한 ‘탄소나노튜브(CNT·Carbon Nano Tube)투명 전극 후처리 공정기술’을 전문 기업체에 이전 상품 고급화에 나섰다고 21일 밝혔다.
이 기술이 이전된 기업은 광학필름 전문 제조업체인 신화인터텍㈜으로 투명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상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됐다. CNT는 탄소 육각형이 서로 연결돼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로 크기가 작고 열전도율이 매우 높으며 철강과 비교 100배 견고한 21세기형 신소재다.
‘CNT 투명전극 후처리 공정기술’은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이나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작은 CNT를 뿌려서 전류가 통하는 투명기판을 만드는 것이다.
연구원은 다양한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한 후처리 공정기술을 통해 기판에 코팅된 CNT의 형태와 고유성질을 그대로 유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공정기술은 투명도가 타 기술에 비해 높고 전기전도 특성도 유지하면서 높은 내열, 내습, 내화학성 등 환경 안정성을 갖고 있다.
또 이 기술은 공정된 기판을 95%이상의 습도와 80℃의 높은 열을 10일간 가했을 경우와 알코올, 물, 아세톤 등의 각종 용매에 기판을 담궜을 때도 또 손으로 문지르고 닦아내도 CNT의 특성을 유지, 투명성과 유연성을 지녀 스마트 폰 터치패널, 투명 전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정전기방지필름 및 전자파 차단필름, 전자종이, 인쇄전자 제품, 겨울철 내열창, 자동차의 열선 없는 유리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신화인터텍㈜는 기술이전 계약조건으로 고정기술료 15억원과 향후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상용화 될 경우 연간 매출의 4%를 KETI에 납부키로 했다.
KETI 한종훈 박사는 “휴대폰 제조 등 많은 제품에 CNT 공정기술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매년 30% 이상의 시장 성장도를 보여 2~ 3년 이내에 시장이 크게 활성화 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상용화로 무역수지개선과 수입대체의 효과가 클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