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경기도교육청이 지난 21일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한 공립 교사 정원 배정 기준에 관한 의견과 관련 도내 교원단체들이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처사라며 적극 반발하고 있다. 더욱이 교과부에서 도교육청에 제시한 기준은 서울, 인천과 큰 차이를 두고 있어 교육환경이 상대적으로 뒤떨어진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5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도내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 편성 기준이 36명으로 서울, 인천 기준인 30명보다 높은 상황”이라며 “이 가운데 교과부에서 제시한 보정지수 +2.7에서 0.1만 뺀 +2.6을 의견 제출한 도교육청은 결국 경기교육의 현실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 단체는 교과부에서 서울, 인천 기준(+0.7)과 달리 초·중등 교사 배정 기준의 보정지수를 각각 +2.7, +2.2로 정한 것과 관련해 도내 국회의원들에게 입장을 표명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과부 기준 철회 서명운동을 전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는 도교육청의 의견 제출에 대해 경기지역의 대도시와 농산어촌 특수성을 반영하지 않은 일방적 결정이라고 비난했다.
경기교총 관계자는 “교원단체에서 우려하고 있는 교육환경 악화와 교사 부족 문제에 대해 도교육청은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 경기교총은 도교육청에 입장을 표출하고 적극 항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대해 도교육청 초등교육과 관계자는 “현재 도내 초등교사 1인당 학생수는 25.97명으로 학급 편성 기준인 35명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기 때문에 교사 정원을 늘려달라고 요청하기 어렵다”며 “농산어촌 학교에 대해서는 중장기계획을 갖고 교사 수급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의 교사배정 기준은 전국 평균 교사 1인당 학생수에 보정지수를 합산한 결과에 따라 산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