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최근 조직 개편 계획과 함께 단행한 9월1일자 정기인사와 관련해 도내 교원단체들은 인사위원회의 투명성 부분 등 교육행정의 절차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25일 행정직 인사를 포함해 관리직, 전문직 등 모두 1천500여명의 도교육청 인사 발령에 대해 교원단체들은 측근과 지역을 고려한 처사라는 비난과 함께 인사 절차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는 이날 논평을 통해 “경기도교육청 인사제도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도교육청 인사위원회는 구성과 운영에 있어 민주성과 투명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며 “누가 인사위원인지, 인사위원회 규정은 어떻게 되는지, 인사 작업은 어떤 절차에 따라 이뤄지는지 일반 시민들은 알기 어렵고 인사 작업 관계자들 이외에는 인사위원회 과정에 대해 접근이 불가능하다”고 비판했다.
또한 “조직 개편을 위해 내부적인 논의는 있었겠으나 외부에서 참여할 수 있는 여지는 전혀 없었다. 도교육청 조직을 근본적으로 개편하는 일에 공청회 한 번 없었다는 것은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도교육청은 교육청에 근무하는 사람이나 교육계의 소유물이 아니라 도민의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인사위원회는 민주성과 투명성을 생명으로 한다”며 “이를 위해 현장 교사 등 외부 인사가 참여하는 인사위원회 제도 개편과 도민의 동의를 구할 수 있는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단체는 “이번 인사를 거울삼아 이후 인사제도 개선, 인적 쇄신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인사의 민주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도민의 교육개혁 열망에 부응해야 할 것”이라고 제기했다.
경기교총도 측근과 지역을 고려한 배려 중심의 인사였다고 비판했다.
경기교총 관계자는 “도교육청의 인사위원회는 공정성과 투명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외부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전문성과 독립성을 갖추고 능력 중심의 인사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 내부에서는 이번 인사에 대한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는 상황으로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도교육청의 한 직원은 “이번 인사는 미리 정해둔 사람들을 형식적으로 발령낸 것으로 보인다”며 “경력과 능력으로 주위 동료들에게 인정받는 사람들이 탈락되고 특정 대학과 특정 지역 출신들이 승진한 경우가 많았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