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의회 제178회 임시회가 여야, 시 집행부간 합의 불발로 열리지 않을 것이라는 세간의 소문이 현실화될 공산이 커 우려를 낳고 있다.
이같은 일은 지방의회 사상 이례적인 사건(?)으로 시의회 역사에 큰 오점으로 작용될 여지가 농후 해 시민 원성이 높아가고 있다.
30일 시의회, 시민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의장직권으로 임시회를 소집했으나 한나라당협의회가 이재명 시장에 요구한 인사, 의회출석 등에 대한 해명 없이는 개회할 수 없다고 맞서 파행이 12일간 지속되는 가운데 민주당, 민주노동당, 시민단체 등이 속히 열어 민생안건 등을 처리해야 한다는 성명을 잇따라 발표했다.
민주당의원협의회는 지난 27일 ‘의회정상화 촉구’제목의 성명을 통해 “더 이상의 파행은 안된다”고 전제하고 “한나라당은 자신들 입장만을 되풀이 하며 법에 정해진 시간을 소비하고 있음은 어떤 명분으로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당의원 전원은 30일 오전 10시 의회 본회의장에 출석하는 등 행동을 보여주며 압박했으며 성남시립병원운동본부도 이날 “임시회를 당장 개최해 시립병원 예산 102억원을 전액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성남사회단체연대회의는 27일 성명을 통해 “직무를 이행하지 않는 책임을 물어 의정비 반환 요구 등 실력행사를 펴나갈 방침”이라고 선언했다.
민주노동당 시위원회는 26일 논평을 통해 “정치적 목적의 임시회 보이콧으로 서민과 저소득층의 민생현안과 사회복지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상진(한·중원구) 국회의원은 25일 성명서에서 “임시회를 열지 못함은 유감”이라며 “추경안 등 안건처리해야할 임시회를 보이콧한 한나라당 소속 시의원들은 각성해야하고 시 집행부에 대한 비판과 대안제시는 의회내에서 이뤄져야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임시회에서는 성남시립의료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안, 시정개혁위원회 설치 및 운영조례, 학교급식지원에 관한 조례 개정안 등 조례안과 시립병원 건립예산, 각종 개발 및 사회복지 등 888억원 규모의 추경예산안을 다룰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