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일선 초·중·고등학교의 물탱크 관리와 교실 소독·방역 업체에 대한 선정 기준이 없어 학교마다 지출금액이 천차만별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일부 업체는 여러 학교와 용역계약을 하면서 같은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금액으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드러나 이에 대한 기준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경기도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조평호 교육의원은 “물탱크 설치와 소독·방역을 담당하는 업체를 선정하는데 있어 비슷한 규모의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용역업체 선정에 대한 지출금액이 최대 7배까지 차이가 난다”며 “이는 용역업체 선정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발생하는 명백한 예산낭비”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조 의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군포의 A초등학교는 올해 30톤 규모의 물탱크 관리를 위해 20만원에 용역 계약을 체결했으나 의왕의 B초등학교는 30톤의 물탱크 관리에 107만6천원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나 같은 크기의 물탱크 임에도 불구하고 무려 5배가 넘는 단가 차이가 발생했다. 더욱이 A학교와 B학교의 물탱크 관리 용역을 체결한 업체가 동일 업체인 것으로 나타나 도내 일선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계약을 체결해 외부업체에 업무를 위탁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기준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조평호 의원은 “같은 규모의 학교임에도 불구하고 금액이 다른 것도 문제가 되는데, 같은 업체와 계약을 체결하면서도 단가가 다른 것은 학교가 업체들에게 놀아난 꼴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A, B학교의 물탱크 관리를 맡은 J업체는 같은 규모의 다른 학교의 용역계약에서도 각각 다른 금액으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나 일선 학교 자체사업에 대한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교 소독·방역과 관련해서도 같은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광명시에 있는 연면적 1만50㎡의 C학교가 교실과 급식실에 대한 방역·소독에 지출한 비용이 21만원인데 반해 같은 지역의 연면적 1만213㎡인 D학교는 무려 210만원을 지출했다.
D학교와 C학교의 연면적은 불과 2%차이에 불과하지만 D학교는 C학교에 비해 1,000%나 많은 금액을 지출한 것이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정확한 상황 파악 이후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