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중ㆍ고등학교가 범죄와 사고 발생을 예방하고자 앞으로 후문을 전격적으로 없어져가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도 교육청에 따르면 일선학교는 기본적으로 후문을 설치, 개방해 왔으나 지역주민 민원 등과 각종사고 예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없애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안전사고 예방 등의 이유로 후문을 폐쇄한 경기도내 중·고교는 모두 60여개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도내 1천여 중·고교중 당초 후문이 없었던 300여개교를 합치면 3분의 1 이상의 학교 학생들이 ‘후문의 추억’을 가질 수 없는 셈이다.
2008년 문을 연 수원의 A고등학교는 정문과 후문이 모두 4, 6차선 도로에 인접해 있어 1천200여 학생들의 안전관리를 위해 개교 이래 후문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있다.
후문쪽 왕복 6차선 도로는 교통량이 하루 평균 1만여대에 달하며, 대형트럭들도 200~300여대가 오간다.
학교 관계자는 “차량들이 빠른 속도로 달리기 때문에 학생들이 사고라도 날까봐 후문을 아예 없애고 싶지만, 소방진입로로 사용해야 하므로 문만 닫아놓고 정문만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원시 권선구의 B중학교는 후문과 맞닿은 왕복 4차선 도로에 소형 화물트럭의 통행이 잦아 학생들의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이 후문은 개교 당시 정문으로 만들어졌지만, 교통사고 위험이 크고 이용하는 학생도 적어 문을 잠가놓고 본래의 후문을 고쳐 정문으로 사용중이다.
학교의 한 교사는 “어른인 나도 후문쪽 횡단보도를 건널 때면 빠르게 달리는 차량 때문에 위험을 느낀다”고 말했다.
수원의 또 다른 여자고등학교는 외부인의 출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건 예방을 위해 올해부터 후문을 전면 통제했다.
이 학교 주변에는 산업인력공단 경기지사, 보건소, 경찰서, 구청 등이 들어서 있어 이들 기관을 찾아온 민원인들이 학교 후문을 통해 잘못 들어오는 경우가 빈번했기 때문이다.
학교 관계자는 “주변 환경상 후문 출입통제가 어려워 외부인 침입에 따른 성범죄 등을 미리 막는 차원에서 후문을 막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2009년 이후부턴 교지를 선정할 때 학교보건법에 따른 심의절차를 거쳐야하지만 그 이전에 설립된 학교는 그런 절차를 거치지않았기 때문에 도로와 인접한 문제 등이 있을 수 있다”며 “후문은 학생의 통학 편의를 위한 것으로 굳이 필요하지 않다면 설치할 의무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