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내 백혈구의 일종이며 면역계 세포인 수지상세포(樹枝狀·dendritic cell)를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새로운 세포 치료제가 차세대 항암제로주목 받고 있다.
성남시 분당차병원은 수지상세포 치료제 개발 전문 기업인 JW크레아젠㈜과 공동으로 식약청으로부터 난치성 악성뇌종양인 교모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자 주도 임상 1·2상 시험 허가를 얻어냈고, 이 임상시험은 신경외과장 조경기(사진) 교수 주도로 진행된다고 24일 밝혔다.
수지상 세포 요법은 자신의 말초혈액단핵세포(PBMC)를 이용한 기술로 암 세포가 환자의 면역 기능을 피하는 원리를 차단해 공격을 유도하는 원리로서 그 백신은 강력한 항암 치료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또 입원 없이 정기적으로 병원 방문해 백신을 투여 받는 방식으로 환자 편의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난치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에 임상 적용은 국내에서는 유일한 시도로 재발과 전이가 심해 치료가 불가능했던 교모세포종 환자의 생존기간을 연장시키고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