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경기도교육청이 학교폭력을 사전에 예방하고 조기발견하기 위해 채용한 계약직전문상담교사의 상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본보 2월28일자 7면 보도) 실제 학교현장에 배치된 계약직전문상담교사의 절반 이상이 전문상담교사 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실효성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14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95억여원의 자체예산을 투입해 380명의 계약직전문상담교사를 채용해 131개 초등학교와 161개 중학교, 88개의 고등학교 등 총 380개 거점학교에 배치했다.
이 과정에서 도교육청은 기본적으로 전문상담교사 자격증 소지자를 선발할 것으로 밝히고 자격증 소지자의 채용이 곤란할 경우 교원자격증과 상담관련 각종 자격증 소지자로 채용 기준을 완화한 바 있다.
이 결과 학교에 배치된 계약직전문상담교사의 절반 이상이 전문상담교사 자격증이 없이 상담심리사나 청소년상담사자격증 만으로 채용돼 위기학생에 대한 상담효과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
실제로 학교에 배치된 계약직전문상담교사 중 1급 전문상담교사 자격을 가진 교사가 28명, 2급은 135명으로 이들을 합쳐도 총 163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더욱이 상담 관련 자격이 아닌 사회복지사나 평생교육사 자격만 가진 교사들도 25명에 달하는 데다 관련 자격이 없이 교원자격만 가진 교사도 10여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아동·청소년상담학회 김동민 부회장은 “1년의 짧은 계약기간으로 인해 실질적인 상담효과를 거두기 어려운데다 학생들을 전문적으로 상담하는 상담교사에 필요한 전문상담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적어 상담의 실효성이 더욱 의심되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전문상담교사자격증을 가진 교원이 적은데다 최근 교과부가 정규직전문상담교사를 대거 채용할 계획을 밝혀 정규직전문상담교사 준비를 위해 계약직을 기피하고 있는 추세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