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지난달 말 도내 장애인 단체들이 경기도교육청을 찾아 특수교사 증원을 요구한 가운데(본보 3월30일자 6면 보도) 전국의 장애인 단체들이 교육권 보장을 위한 특수교사의 법정 정원 확보를 대대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와 전국장애인교육원연대 등 11개 단체들은 지난 6일 서울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장애인 교육권 보장을 위해 특수교육기관의 학급당 학생 수 기준을 지키도록 특수교사의 법정 정원을 확보를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특수교사 부족문제는 특수교육기관의 과밀학급을 부추기게 돼 궁극적으로 장애학생의 교육을 황폐화시키는 주범인 만큼 정부는 특수교사의 법정 정원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장애인들이 제대로 교육받지 못해 지역사회에 어울리지 못하고 시설에 방치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특수교사 확보는 장애인의 교육권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전국장애인교육원연대에 따르면 전국 국·공·사립 학교의 특수교사 법정 정원은 1만9천701명인데 반해 현재 특수 교사 수는 1만3447명으로 법정 정원수의 68.5%에 불과하다.
또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59.1%, 특수학교 중 65.1%가 법 규정에 따른 학급당 학생수 기준을 위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원호 전국특수교육과대학생연합회 의장은 “정부는 장애인의 교육원을 보장을 위해 특수교사의 법정 정원을 확보해야 한다”며 “법정 정원 확보를 통해 예비교사들의 꿈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