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기도내 지난해 중퇴 학생 1만6천명

지난해 경기지역 학업중단 학생이 1만6천여명으로 집계됐으며 특히 고교생의 학업중단 비율은 매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전경숙 연구위원의 ‘청소년 학업중단문제 해결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연구자료를 보면 2011년 도내 학업중단 청소년은 모두 1만6천138명이다.

전체 재적 학생 159만456명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성별 학업중단 비율은 남학생이 1%, 여학생이 0.8%로 남학생의 학업중단 비율이 0.2%포인트 높았다.

학교급별 학업중단 학생 비율은 초등학교 0.4%, 중학교 1%, 일반계고 1.9%, 전문계고 5.9%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계고의 학업중단 비율은 2006년 0.8%에서 2007년 1%, 2008년 1.2%, 2009년 1.3%, 2010년 1.4%, 2011년 1.9%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전문계고의 학업중단 비율도 2006년부터 2011년까지 2.3%→3%→3.4%→3.6%→5.9%로 상승했다.

특히 2010년 대비 2011년 학업중단 비율은 일반계고가 1.4%에서 1.9%, 전문계고는 3.6%에서 5.9%로 급격히 증가했다.

고교생 학업중단 원인은 학습부진·교칙위반·학교폭력 등 ‘학교 부적응’이 50.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대안교육·검정고시 준비·해외유학 등 ‘기타’가 23.7%, 가정불화·가정해체·경제적 어려움 등 ‘가사문제’가 19%로 나타났다.

전문계 고교생은 학교 부적응(57%)과 가사(25%)로 인한 학업중단 비율이 82%를 차지, 전체 고등학교 평균(69.6%)보다 월등히 높았다.

전 연구위원은 “학업포기 학생이 학교로 돌아오기가 상당히 어려운 것이 현실인만큼 학교를 그만두기 전에 원인을 진단하고 처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학업중단숙려제’ 확대, 대안교육시설 및 대안학교 운영 확대, 직업훈련 및 취업지원 강화, 빈곤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확대 등의 청소년 학업중단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