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KT로부터 유출된 고객 정보가 불법매매를 통해 판촉영업에 활용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이동통신사가 가입자 1명을 유치하는데 평균 700만원의 비용을 쏟아부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과도한 고객 유치 경쟁이 KT의 고객정보 유출 사건과 같은 범죄를 양산하는 동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통3사들은 올 2분기에 마케팅수수료, 광고선전비 등의 마케팅 비용으로 총 2조356억원을 지출했다.
반면 같은 기간 이통3사는 28만9천719명의 순증 가입자를 확보하는데 머물러 가입자 1명당 평균 702만원의 마케팅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통사 중 SK텔레콤은 가입자 1명을 모으는데 약 933만원을 사용해 마케팅비용이 가장 높았다.
SK텔레콤은 9천600억원을 마케팅 비용(IR 자료 기준)을 썼지만 이동통신(CDMA·WCDMA·롱텀에볼루션(LTE)) 순증 가입자는 총 10만2천850명에 그쳤다.
KT는 가입자가 오히려 줄었다. 5천890억원의 마케팅 비용을 지출했지만 가입자는 오히려 11만851명 감소했다.
LG유플러스는 4천866억원을 마케팅 비용으로 사용하고 순증 가입자는 29만7천720명을 기록해 가입자 1명당 약 163만원이 들었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과도한 마케팅 비용에 의아해하면서도 무리한 경쟁은 결국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것이라는 불만을 쏟아냈다.
수원에 사는 한모(29) 주부는 “마케팅으로 지출한 돈은 모두 제품 가격에 포함될 텐데, 그럼 비용은 소비자가 지는 것 아니냐”며 “신규고객 유치를 위해 경쟁하기보다 보유 고객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 이탈을 막는 게 낫다”고 지적했다.
또 의왕시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모(35)씨는 “과도한 경쟁과 마케팅 비용은 고객정보가 불법 매매의 대상이 된 KT의 정보유출 사건과 같은 범죄를 유발하는 동기가 될 수 있어 자제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한 이통사 관계자는 “SK텔레콤이 7월 23일부터 LTE 단말기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하는 등 하반기부터는 이통3사 모두 소모적 보조금 경쟁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