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용인 등 버블세븐 지역의 중소형 아파트 시가총액이 5년새 8조5천억원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써브는 ‘버블세븐’ 지역의 아파트(전용 85㎡이하) 매매가가 이달 현재 184조2천636억원으로 최고점을 찍었던 2007년 3월(192조7천713억원)과 비교해 8조5천77억원이 줄었다고 28일 밝혔다.
버블세븐 지역은 강남, 서초, 송파, 양천, 분당, 평촌, 용인이다.
이에 따라 버블세븐 아파트 값이 서울·경기 아파트값 총액(전용 85㎡이하)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30.39%에서 25.19%로 5.2%p 축소됐다.
지난 5년간 중소형의 시가총액 비중감소가 가장 큰 곳은 강남구였다.
강남구는 2007년 3월 48조4천789억원으로 서울시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14.05%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최근 들어 11.0%(42조7천742억원)로 -3.05%p 뒷걸음질 쳤고, 송파구도 48조3천485억원에서 45조5천451억원으로 시가총액이 줄며 서울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4.01%에서 11.71%로 감소했다.
분당(성남)과 평촌(안양) 등 경기권 버블세븐 시가총액 비율도 후퇴했다.
분당(성남)은 22조9천647억원에서 21조394억원으로 떨어지며 경기도 중소형아파트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80%p(7.94%→6.14%) 감소했다.
평촌과 용인은 각각 동기대비 -0.48%p(2.99%→2.51%), -1.56%p(10.93%→9.37%) 축소되며 약세를 보였다.
금리인하와 강남3개구 투기지역해제, 수도권 DTI(총부채상환비율)규제 완화 등 투자수요의 진입문턱을 낮추는 시장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주택구입심리 위축과 경기불황이 겹치면서 버블세븐의 시가총액은 증발 추세라고 부동산써브 측은 설명했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은 “가계부채문제 외에도 취득세율 완화카드를 빼곤 부동산시장을 견인할 만한 히든카드가 얼마 없는 실정이어서 버블세븐의 가격회복여부는 당분간 불투명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