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출기업 절반이 올 상반기 물류비가 지난해보다 17% 가량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520개 제조·유통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수출기업의 물류현황 및 애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출기업의 55.7%는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해 수출물류비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물류비 증가폭은 평균 16.3%로 집계됐다. 물류비 상승의 원인으로는 ‘유가상승’(71.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화물운송, 포워딩 수수료 등 부대요금 인상’(12.5%), ‘상품자체의 특성변화로 인한 무게, 부피의 변화’(5.4%), ‘교통체증 등으로 인한 물류비 상승’(3.6%), ‘인건비 상승’(1.8%) 등의 순이다.
최근 두바이유 기준 국제 유가는 작년 상반기 대비 평균 9% 이상 상승했다.
또 올해 외부물류서비스업체 위탁비용인 포워딩 수수료가 화물적재 1건당 2만원에서 3만5천원으로 인상되고 컨테이너트럭 운임 역시 9% 이상 인상되면서 물류비 부담이 커진 것으로 대한상의 측은 설명했다.
수출기업은 수출관련 요금조정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으로 ‘항공운임’(44.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해상운임’(43.1%), ‘포워딩 수수료’(33.2%), ‘검역, 검수 등 통관 관련 비용’(18.8%), ‘컨테이너트럭 운임’(17.4%)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수출물류 관련 규제 및 행정업무가 까다롭다고 느끼는 지역은 ‘미국’(18.2%), ‘동남아’(17.2%), ‘중국’(15.2%), ‘일본’(12.1%), ‘유럽’(9.6%), ‘중동’(8.1%), ‘중남미’(7.1%), ‘인도’(6.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고유가와 부대비용 상승 등으로 수출기업의 물류비가 증가되고 있다”며 “정부는 공차와 화물이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민간의 물류정보망 사업을 활성화시키고 철도 수송을 확대해 도로운송 적체를 완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