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자 유치경쟁과 보조금 전쟁’에서 비롯된 17만원 갤럭시S3 대란의 후폭풍이 본격화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온라인 휴대폰 판매점과 일선 대리점에서는 17만원 갤럭시S3를 사기 위한 사람들이 줄을 이었고, 통신요금 인하요구 주장도 다시 급부상했다.
휴대폰 판매점들이 밀집한 수원역 지하상가는 10일에 이어 11일도 휴대폰을 구입하려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정가가 99만원인 갤럭시S3는 이 기간에 3개월 동안 LTE-62 요금제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할부원금 17만원에 구입할 수 있었다. 할부원금은 휴대폰을 구입한 사람이 실제로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다. 할부원금 17만원을 24개월로 나누면 한 달에 7천원 수준이다.
직장인 이모씨는 “10일 퇴근길에 들렀다가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다시 왔다”며 “지금 아니면 언제 이렇게 싼 가격에 휴대폰을 사겠냐”고 말했다.
갤럭시S3 가격이 최근 17만원으로 급락하면서 휴대폰 판매점들이 발디딜 틈없는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한 휴대폰 판매점 관계자는 "이틀 동안 소화한 개통 물량이 사상 최대 수준이었다. 평소보다 휴대폰 배송과 개통에 더 많은 시간이 걸려 아직도 작업을 끝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 출시 두 달이 지난 삼성전자의 프리미엄급 스마트폰을 이렇게까지 낮은 가격으로 떨어진 적이 없었다”며 “9월 스마트폰 대전을 앞두고 진풍경이 펼쳐지고 있다”고 말했다.
통신업계에서는 이틀 동안 기록한 번호 이동 규모가 사상 최대 수준일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는 이틀 동안의 갤럭시S3 대란이 끝났다고 했지만 11일에도 후폭풍은 계속됐다.
최근 갤럭시S3의 가격이 10만원대로 떨어진 것은 통신사들이 LTE 가입자 유치 경쟁에 나서면서 갤럭시S3에 보조금을 대폭 실어준 데 따른 것이다. 지난달 중순 KT가 갤럭시S3에 보조금을 늘리면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경쟁적으로 보조금을 확대해 왔다.
보조금 경쟁으로 갤럭시S3의 판매가격이 17만원까지 떨어지자 방송통신위원회는 11일 이동통신3사 마케팅 관련 사장단을 불러 긴급회동을 가졌다. 방통위는 전날에도 통신사들에게 ‘과다 보조금 긴급중지’ 공문을 발송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전날에도 마케팅 임원들을 불러 보조금 경쟁을 자제해달라고 경고했으나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았다”며 “그래서 오늘은 사장단급 고위 임원들을 불러 경고하는 것”이라고 했다.
방통위는 통신3사가 이번주 중 보조금 경쟁이 사그라들지 않으면 조사를 나갈 확률이 높다고 전했다. 현장 조사에서 이통사가 과도한 보조금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면 최대 3개월간 신규 가입자 모집을 금지하는 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
방통위는 작년 9월 보조금을 과잉지급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 총 13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면서 "한 번만 더 보조금으로 법을 위반하면 신규 가입자 유치 금지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소비자들의 통신요금 인하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참여연대는 11일 기자회견을 열고 "방통위는 이번 판결에 대한 항소를 포기하고 조속히 원가 관련 자료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또 판결취지에 맞춰 소송에서 빠졌던 4세대 LTE 서비스 요금 등에 대한 정보공개를 방통위에 청구할 계획이다.
보조금 전쟁과 함께 100만원에 가까운 높은 출고가를 매겨놓고 보조금을 지급하며 깎아주는 왜곡된 단말기 가격도 도마위에 올라 시민단체들이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집단소송을 제기할 계획이어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