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절반 이상이 직원 채용 시 탈락자에 대해 개별통보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국내 중소기업 349곳의 인사채용담당자를 대상으로 ‘채용 시 탈락자 통보를 하는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9.0%가 ‘탈락자 통보를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25일 밝혔다.
탈락자 통보 방법으로는 ‘휴대폰 문자로 개별통보’ 하는 곳이 6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홈페이지에 합격자 발표를 해 탈락자는 자연히 알게 되도록’ 하는 곳이 52.4%, ‘이메일로 개별통보’ 하는 곳은 47.6%로 집계됐다.
탈락자의 이력서는 오프라인의 경우, ‘문서 세단기(파쇄기)를 이용해 폐기한다’는 답변이 61.6%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찢지 않고 그대로 휴지통에 버린다’(33.5%), ‘손으로 대강 찢어 휴지통에 버린다’(28.7%), ‘한 뭉치로 묶어서 폐기한다’(15.5%) 등의 답변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온라인 이력서의 경우도 ‘서버나 피씨에 파일이 남아있지 않도록 모두 삭제한다’는 곳이 62.2% 였으나, 37.8%는 ‘폐기하지 않고 보관한다’고 답했다.
이는 기업 채용관계자들의 개인정보 보안 의식이 상당히 부족한 것이라고 잡코리아 측은 설명했다.
잡코리아 관계자는 “이력서에는 개인정보가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 탈락한 지원자들의 오프라인 이력서는 세단기를 이용해 철저하게 분쇄 처리해야 한다”며 “온라인 이력서의 경우도 직원 개인의 피씨는 물론 회사 서버까지 모두 삭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