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황제가 지난 1900년 10월 25일 황제 칙령 41호로 울릉도, 죽서도, 독도를 대한제국 강원도 울도군으로 편입시킨 것을 기념해 제정된 ‘독도의 날’, 세계 최대의 검색포털 구글에서 독도가 사라져 네티즌과 국민들의 분노가 일고 있다.
특히 구글이 독도 주소를 지운 데 이어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한 것으로 드러나고, 정부도 강력 대응 방침을 보여 파문이 확산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지도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면서 독도·다케시마, 동해·일본해, 센카구·댜오위다오·댜오위타이, 페르시아만·아라비아만 등 영유권 또는 표기관련 분쟁이 있는 4개 지역에 대한 표기방식을 바꿨다.
이에 따라 ‘독도’를 검색하면 함께 표기되던 독도의 한글 주소도 사라졌고, 공식 명칭도 ‘리앙쿠르 암초’로 바뀌었다. 게다가 구글 지도의 메인 사이트에서도 동해가 ‘일본해(동해)’로 표기됐다. 업데이트 이후 일본해를 우선 명기해 세계인들은 동해를 일본해로 우선 인식하게 됐다.
논란이 확산되자 구글은 공식 입장을 내고 “해당 지역에 대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동시에 지역 연관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글이 오래전부터 유지한 글로벌 정책에 맞춘 것으로 어떠한 정부의 요청과도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독도의 날’에 자행된 구글의 도발에 국민들과 네티즌들은 분노했다.
네티즌들은 “25일 오늘 독도의 날에 맞춰 구글이 독도주소를 제거했는데 정부는 뭘하는가”, “앞으로 구글퇴출 운동이라도 펼쳐야한다”, “일본해 표기가 어떻게 중립적이라는 말인가”라며 비난했다.
김상곤 경기도교육감도 이날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은 독도가 명백한 우리 영토임을 선언한 ‘독도주권 선포의 날’”이라면서 “대표 인터넷 지도 서비스에서 독도가 사라지고, 동해 대신 일본해라는 이름으로 업데이트가 되고 있다. 다함께 주권과 평화를 지켜 우리 아이들에게 온전하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물려주자”고 밝혔다.
정부는 구글이 자사 지도서비스에서 독도의 한국 주소를 삭제한 것과 관련해 시정을 요구했다.
외교통상부는 이날 “독도는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라면서 “구글의 새 방침을 인정할 수 없으며 우리 정부가 부여한 독도 주소가 표기돼야 한다고 시정을 요청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