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상당수가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시 이익 극대화보다 피해최소화에 우선해야 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500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중 FTA 추진방향에 대한 기업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4.8%는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부문은 개방대상에서 제외하거나 관세철폐 폭을 최소화하는 등 피해최소화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답했다.
협상기간을 묻는 질문에는 ‘최선의 협상결과를 내기 위해 시간을 두고 신중히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94.7%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양국시장의 개방범위와 관세철폐 폭을 최대화하는 등 FTA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답한 기업은 15.2%, ‘중국시장 선점 등 FTA 체결효과 극대화를 위해 가급적 단기간내로 체결해야 한다’는 5.3%에 각각 그쳤다.
한중 FTA가 기업경영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혜택이 예상된다’(33.3%)는 응답이 ‘피해가 예상된다’(17.0%)는 답변을 웃돌았다.
다만 ‘혜택과 피해가 비슷할 것’(49.8%)이라는 응답이 과반수로 향후 협상 내용에 따라 FTA 체결에 따른 이해득실이 갈릴 것으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IT, 석유화학, 기계, 식품은 ‘혜택이 피해보다 클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많았다.
그러나 철강, 생활용품은 ‘피해가 혜택보다 클 것’이라는 기업이 다소 많았다. 섬유·의류는 혜택을 예상하는 기업과 피해를 예상하는 기업비중이 같았다.
박종갑 대한상의 조사2본부장은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자 우리의 최대수출시장이므로 한·중 FTA를 체결하면 혜택이 손해보다 더 클 것”이라며 “다만, 일부 업종과 중소기업 등에서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주안점을 두어 협상을 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