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대중교통 법제화를 놓고 택시업계와 버스업계의 갈등의 골이 점점 깊어지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애꿎은 시민들만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정부의 택시업계 설득 작업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연말 대중교통 대란이 예상돼 시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는 실정이다.
26일 국토해양부와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등에 따르면 지난 24일 국토해양부측은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측과 만나 택시 산업 발전을 위한 특별법 제정 및 각종 지원책 등의 종합대책을 담아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하는 내용의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의 포기를 요구했다.
그러나 택시업계는 이같은 대책 발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대중교통 법제화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 사실상 택시 대중교통법 개정안 통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반대하던 버스업계는 오는 28일 대중교통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과 동시에 전국 버스의 운행을 전면 중단할 것으로 결의해 연말 ‘교통대란’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민 정모(33)씨는 “1천500만 시민의 발 역할을 한다는 대중교통이 어떻게 시민을 미끼로 자신들의 밥그릇 싸움을 하고 있는지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며 “조금씩 양보하고 타협해 엉켜있는 실타래를 풀어야지 시민의 고통은 묵인한채 무조건 자신들의 입장만 고수하고 있으니 앞으로 나라꼴이 어떻게 될런지 정말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
도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정부에서 택시업계의 어려움 등을 고려해 각종 혜택 및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는데 도대체 왜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26일 전국 버스업계 시·도 대표가 참석한 자리에서 택시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전면 운행 중단에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어 “버스 운행 전면 중단으로 시민들이 불편을 겪는 것에는 안타깝고 죄송한 마음으로 버스업계의 입장을 고려해 정부가 하루빨리 문제를 해결해 주길 바랄뿐”이라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버스의 전면 운행중단을 자제해달라고 설득하는 한편 운행 중단시 법에 따라 원칙대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