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2013학년도 2학기부터 무상급식의 친환경 식자재 보급 확대를 위해 가공식품의 공동구매를 실시하기로 했지만 기존 식자재 납품업체들이 중소상인들을 죽이는 정책이라고 반발하고 나서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중소 식자재 유통상인들은 ‘경기도 학교급식 납품업 협의회’(가칭)를 결성해 도교육청의 이번 방침에 대해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는 강경 입장이어서 오는 2학기 학교급식에 차질이 빚어지는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커지고 있다.
4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학교급식의 질 제고 및 안전성 확보, 식재료 선정의 전문성 증진,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해 오는 9월부터 도내 거의 모든 초등학교와 다수 중학교에서 ‘학교급식 식재료 공동구매’ 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의 이번 공동구매는 교육청이 정한 품질기준을 충족하는 식자재의 공급이 가능한 유통회사는 모든 식자재의 확보방안 등을 명시해 각 지역교육청에서 실시하는 입찰에 참여해 선정되면 일선 학교에 공급하는 체계다.
도교육청은 친환경 식자재를 사용한 가공식품 공동구매 추진을 위해 국간장과 고추장, 된장, 참기름, 현미유, 황설탕 등 양념류와 밀가루, 당면 등 식재료를 포함, 총 21개 가공식품의 품질기준을 정했다.
그러나 기존에 친환경 식자재를 개별적으로 학교에 공급하던 중소상인들은 도교육청이 대규모 식자재 유통업체만 공동구매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까다로운 기준을 제시해 기존 식자재유통 상인들을 고사시키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는 상태다.
더욱이 이들 중소상인들은 도교육청의 이번 방침이 철회되지 않을 경우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도교육청의 행보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도학교급식납품업협의회(가칭) 관계자는 “중소유통상인들이 학교급식을 위해 친환경 식자재를 꾸준히 공급해 왔는데 갑작스럽게 공동구매를 추진하기로 한 도교육청의 저의가 궁금하다”며 “교육청이 제시한 기준은 사실상 중소유통상인들은 굶어 죽으라는 소리밖에 안된다”고 울분을 토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몇몇 대기업을 밀어주려 한다는 주장이 있기는 하지만 이번 방침은 고품질의 안전한 국산 먹거리를 아이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일 뿐”이라며 “2011년부터 시범사업을 해왔고, 지난달 설명회도 연 만큼 이번 사업을 준비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