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재정위기가 본격화되면서 재정위기의 후폭풍이 도내 경제단체들에게 이어지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추진한 도내 중소기업 이자 감면 혜택이 사업 1년 만에 폐지되고, 예산이 50% 삭감된 경기도경제단체연합회는 12년 간 무료로 배포했던 경제·경영월간지 ‘G·economy21’에 대한 유료화를 검토중이다.
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가 최근 각 실·국에 배정한 2014년도 본예산 투자재원(일반회계 기준)은 5천742억8천만원으로 올해(1조1천748억4천만원) 대비 51.1%가 감소했다. 내년도 살림살이가 반토막난 것이다.
특히 실·국 중 경제단체 지원 업무가 집중된 경제투자실의 배정 재원은 올해 대비 55% 줄어든 약 412억원에 그쳤다.
이에 따라 도내 경제단체가 그동안 추진한 지원 사업들도 줄줄이 ‘올스톱’ 될 전망이다.
중소기업중앙회 경기지역본부는 올 1월 수도권에선 처음으로 ‘중소기업공제사업기금’ 가입업체를 대상으로 0.5%p의 대출이자를 지원하는 사업을 개시했다.
도가 1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면서 추진된 이번 사업은 내년도 예산이 전액 삭감됐다.
개시 1년 만에 사업이 종료되는 것으로 도내 3천500여개 중소기업에게 제공됐던 금융비용 경감 혜택이 내년에는 사라지게 된다.
신사옥 건립을 추진 중인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경기지회는 건물 확보가 2014년 이후로 지연될 전망이다.
정부(10억원)와 도의 사업비(10억원) 지원을 통해 25억원 상당의 신사옥 건립에 나설 계획이지만 재정 위기에 빠진 도가 신규 사업 추진을 배제하면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신사옥 건립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
경기지회는 현재 수원 인계동에 위치한 DSD빌딩 한 개 층을 임대해 사용 중이다.
도 산하기관 중 하나인 경기도경제단체연합회는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내년 지원 예산이 올해(15억원)의 절반인 7억5천500만원으로 줄었다.
이에 연합회는 지난 2002년부터 운영한 경제·경영월간지 ‘G·economy21’를 무료 배포에서 유료화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G·economy21’는 매월 1만3천부가 발행된다.
이와 더불어 매년 경제·사회단체에 지원하는 경기도 사회단체보조금도 올해 약 12억원에서 내년에는 10억원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보여 경제 뿐 아니라 사회단체들도 재정 위기 후폭풍이 우려된다.
도 관계자는 “과별 예산이 절반에서 많게는 3분의 2이상 급감하면서 자체 사업 추진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신규 사업 추진은 모두 보류되고 경제단체 관련 예산도 더는 유지가 힘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