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경기도가 제각각 운영하는 취업 지원 기관을 통합·운영하는 ‘일자리종합지원센터’(가칭)가 오는 12월부터 본격 가동된다.
도가 운영하는 32개소의 일자리센터와 정부가 관리하는 고용센터(17개소)·여성새일센터(8개소)·자활센터(32개소) 등 89개소의 도내 일자리 지원 기관을 공간·기능적 통합을 목표로 추진되는 것으로 정부와 지자체가 협업모델(민원 부문) 구축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와 안전행정부, 고용노동부, 동두천시·남양주시는 지난 8월과 9월 ‘일자리종합지원센터’ 시범 추진을 위한 실무협의 등을 거쳐 올 12월과 내년 상반기 각각 남양주와 동두천에 ‘일자리종합지원센터’ 개소를 추진 중이다.
일자리종합지원센터는 운영 주체와 지역·기능적으로 나뉜 일자리센터(구인·구직, 취업프로그램), 고용센터(고용보험 등 국가사무), 여성새일센터(경력단절여성 교육), 자활센터(취약계층 취업지원) 등 4개 기관의 공간 통합과 기관별 중복업무 해소 등을 위해 추진되는 정부와 지지체 간 융복합 사업이다.
이를 위해 우선 남양주와 동두천에 일자리종합지원센터가 시범 운영된다.
올 12월 개소가 추진 중인 남양주시의 경우 동일 구역 내 제각각 위치한 일자리센터, 여성새일센터, 자활센터와 남양주와 약 11㎞ 떨어진 구리고용센터를 공간적으로 통합해 ‘남양주 일자리종합지원센터’로 구축할 예정이다.
또 내년 초에도 4개 기관을 합친 ‘동두천 일자리종합지원센터’가 문을 열 계획이다.
이번 시범 사업은 고용부가 인력 증원을 요구하는 조건부로 수용 의사를 보였지만, 안행부에서 기관 간 협업모델의 대표적 시범사업으로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밝히면서 추진에 탄력을 받고 있다.
정부와 도는 오는 12월 완료되는 관련 연구용역과 남양주·동두천 시범 사업 등을 토대로 도내 31개 시·군에 일자리종합지원센터 확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그간 기관 간 인력 및 예산 문제와 기능 이양 등 다양한 견해차로 추진이 쉽지 않았으나 안행부가 협업모델 구축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면서 시범 사업 추진이 가능해질 전망”이라며 “이를 위해 다음달 까지 명칭, 인력, 장소, 운영규정 마련 등 구체적 운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