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재정난 타개를 위해 추진 중인 폐천부지 매각에 청신호가 켜졌다. 도가 소유한 폐천부지를 임대해 쓰는 기업 대부분이 땅 매입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까닭이다.
8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달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보유 부동산을 매각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올해 처음으로 3천875억원의 감액추경예산안을 편성한데다 내년에도 올해 대비 5천억원의 세출을 줄여야 할 정도로 재정여건이 악화한 것이 이유다.
매각안에는 26개 시·군에 소재한 폐천부지 1천477필지, 98만5000㎡가 우선 대상으로 담겼다. 이들 폐천부지 공시지가는 1천498억원으로 추산된다. 폐천부지는 하천이지만 하천의 기능을 상실한 부지를 말한다.
폐천부지 가운데 도로나 제방 등 공공용 땅 569필지(17만6천㎡)와 미활용 땅 259필지(10만3천㎡)를 제외한 649필지(70만5천㎡)가 현재 대부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55개 기업체가 78필지(10만6천㎡·공시지가 285억원)를 빌려 야적장이나 직원 휴식공간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달 폐천부지 임대 기업체 55곳을 대상으로 부지매입의사 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33개 기업(60%)이 지금 당장에라도 사겠다고 답했고, 9개 기업은 기업사정을 고려해 추후 매입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42개 기업이 도유폐천부지를 사들이면 경기도는 공시지가 기준 146억원의 재원을 마련하게 된다.
도 관계자는 “폐천부지에서는 개발행위를 할 수 없어 건물을 짓는 대신 쉽게 철거할 수 있는 가건물이나 야적장으로밖에 쓸 수 없다”며 “빌려쓰는 폐천부지를 사게 되는 기업은 매년 임대계약을 새로 하지 않아도 돼 기업 사정에 따른 장기적인 부지활용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