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조금동두천 18.7℃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0.1℃
  • 흐림대전 19.7℃
  • 흐림대구 22.1℃
  • 흐림울산 20.1℃
  • 흐림광주 19.7℃
  • 흐림부산 21.5℃
  • 구름많음고창 18.1℃
  • 흐림제주 21.7℃
  • 맑음강화 19.9℃
  • 구름많음보은 17.0℃
  • 구름많음금산 17.1℃
  • 흐림강진군 18.7℃
  • 구름많음경주시 18.6℃
  • 흐림거제 19.3℃
기상청 제공

道북부 송전선로 공사 분쟁 10년 만에 종지부

>345㎸급 ‘신가평∼신포천 송전탑’ 가압식
한전 “밀양 송전탑 갈등도 해결되길 기대”

경기 북부지역 ‘신가평∼신포천 송전탑’ 건설 공사가 10년간의 분쟁에 종지부를 찍고 공식 마무리됐다.

한국전력공사는 25일 포천시에서 조환익 사장과 이기택 포천시장,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345㎸급 신가평∼신포천 송전탑의 가압식을 열었다.

가압이란 완공된 송전선로에 처음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총 사업비 1천억원이 투입된 이 사업은 765㎸ 신가평변전소와 345㎸ 신포천변전소 간 65.2㎞에 걸쳐 철탑 175기를 건설하는 것으로 가평·포천, 강원 춘천·홍천 등 4개 시·군을 경과한다.

경기 북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자는 취지로 2003년부터 추진돼 온 이 공사는 2008년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설계 변경과 주민 반발 등으로 지지부진하다 2009년 가까스로 착공됐다.

하지만 24개 송전탑이 들어서는 포천시 일동면 주민들이 대책위를 구성해 사업 취소를 위한 법적 소송을 제기하고 공사를 물리적으로 저지하는 등 갈등을 빚다 결국 2011년 11월 공사가 중단됐었다.

이에 한전 측은 지난 2년간 ‘대화를 통한 해결’이라는 원칙 아래 현실적인 보상 방안을 제시하며 설득 작업을 벌인 끝에 주민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공사도 지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기존의 ⅓에 불과한 ‘심형 철탑방식’을 적용하고 헬리콥터로 자재를 운반하는 등 산림훼손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한전 측은 “신가평∼신포천 송전선로 사업이 ‘롤모델’이 돼 밀양 송전탑 사태 등 전력설비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원만하게 마무리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