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산업단지 조성사업이 부동산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11일 인천상공회의소는 시행사인 인천상공강화산단㈜을 구성해 강화읍 옥림리와 월곶리 일대 45만2천301㎡ 부지에 총 사업비 1천343억원을 투입, 2015년 말까지 강화산단을 조성키로 했다.
사업비는 실수요자인 입주기업이 1천73억원, 국비 201억원, 시비 69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강화산단 계획 당시 인천상의는 강화산단 조성부지의 80%(25만7천400㎡)를 사전분양하고 나머지 20%는 일반분양방식을 택했다.
상의는 출자형식을 빌려 사전분양하기로 했던 비율을 당초 65%에서 80%로 상향조정까지 했다.
또한 분양률을 높이기 위해 산단 잔여부지 3만3천㎡를 지난해 8월 말까지 분양예정가 95만원에 협동화사업 특별 분양을 하기도 했다.
사전분양을 통해 모은 분양대금으로 사업비를 조달하려는 인천상의는 올해 3월쯤 58개 업체로부터 입주신청 시 받은 계약금과 함께 산단 시공사인 현대 엠코 등으로부터 총 120억원을 조성했다.
부지 매입비 350억원은 프로젝트 파이낸싱(PF)으로 조달했다.
그러나 부동산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산단 입주 기피현상이 두드러지는 데다 입주 신청한 기업마저 중도해지를 요청하는 현상이 잦아지면서 산단 조성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58곳이던 입주 신청업체는 12월 현재 43곳으로 분양률이 60%에 불과하다.
불과 9개월 사이에 15곳이 입주를 포기했다.
A업체의 경우 장기적인 안목에서 개성공단과 강화산단의 연계를 위해 강화산단 입주 신청을 했다가 개성공단 가동이 불안정하자 베트남으로 투자지역을 옮겼다.
B업체는 인천 검단지구가 재개발되면서 강화산단을 분양받았으나, 개발지구 지정이 해제되자 산단 입주를 포기했다.
이 때문에 내년 말까지 산단 조성사업을 마치기로 했던 사업계획도 오는 2015년 말로 1년 늦춰졌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입주 문의는 늘어났지만 경기침체가 장기화돼 결정을 못한 채 관망하는 경우가 많다”며 “산단 분양률이 저조할 경우 인천상의의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