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통합신당 창당 작업을 본격화하면서 이번 통합을 지방선거 승리로 이어가기 위해 공정한 방식으로 후보를 뽑아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양측이 ‘룰’이 될 공천 규정을 놓고는 팽팽한 ‘샅바싸움’이 시작될 전망이다.
11일 일단 민주당은 당원 숫자 등 조직 규모에서 비교도 안 되는 새정치연합을 배려해 ‘당원 50%+일반시민 50%’ 투표 방식의 기존 경선 규정을 고집하지 않고, 합리적인 대안을 만들겠다는 신축적인 입장으로 전해졌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아직 경선방식에 관한 의견을 공개적으로 내놓고 있지 않지만 배심원을 활용한 공론조사 방식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는 조직 동원 우려와 ‘인기투표’ 전락 가능성 등 일반 여론조사의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점에서 선호하는 방식으로 보여진다.
민주당 일각에서도 공론조사 도입에 찬성하는 목소리가 있다.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원혜영(부천 오정) 의원은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패널을 선출하고 한 자리에 모여 후보를 판단하는 ‘숙의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했고, 인천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문병호(인천부평갑) 의원도 “전국대의원 50%, 국민배심원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해 공론조사로 뽑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다만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김상곤 전 교육감은 “경선을 포함해 통합신당에서 룰을 정하면 그 절차와 수순을 밟을 것”이라며 “합리적인 과정을 거쳐서 결정되면 존중하겠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이에 반해 경기지사에 도전한 김진표(수원정) 의원은 “기본적으로 당원의 의사는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면서 선관위에 경선 관리를 위탁할 것을 제안했고, 전남지사 출마를 선언한 이낙연·주승용 의원도 당원 투표 유지를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양측이 신당추진단 당헌당규분과 회의에서 지방선거 공천 방식과 관련해 어떤 결론에 도달할 지 주목되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