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7·30 재보선을 앞두고 당내 세력간 주도권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이번 재보선은 결과에 따라 차기 당권 경쟁과 대권 경쟁 구도 재편 등 향후 야권의 지형 변화를 좌우할 중대 변수로 떠오르면서 야권내 공천 경쟁이 조기에 불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이번 ‘공천 방정식’은 거물급 인사들과 정치신인 군단, 구 민주당 출신과 안철수 세력간 주도권 싸움이라는 복잡한 대립구도로 엉켜있는 형국이다.
현재는 손학규 정동영 상임고문, 천정배 전 법무장관, 김두관 전 경남지사 등 한동안 당 전면에서 비켜서 있던‘잠룡’들이 최대 격전지로 부상한 서울 동작을을 위시한 수도권 지역에 자천타천으로 이름을 올리며 서서히 몸 풀기에 들어간 모양새다.
여기에 맞서 김상곤 전 경기교육감, 금태섭 공동대변인을 비롯한 안 대표측 세력과 박광온 박용진 대변인 등 신주류측 ‘신인’들도 출전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
야권의 텃밭인 광주 광산을, 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에서는 안 대표측 내에서도 김효석 전 의원 등 중진 그룹과 이석형 전 함평군수 등 신예그룹이 나뉘어있고, 여기에 민주당 출신 신인들도 뛰어들면서 공천티켓을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김·안 대표로선 ‘거물 차출론’이냐 ‘신인 등용론’을 놓고 교통정리에 애를 먹을 수밖에 없는 처지이다.
다만 이정현 전 청와대 홍보수석의 동작을 출마가 현실화되고 곳곳에서 ‘빅매치’가 펼쳐질 경우 ‘거물 차출론’이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인다.
이로 인해 당내 중량감 있는 인사들의 ‘등판’이 현실화된다면 이들의 ‘생환’ 여부에 따라 당내 세력판도도 영향을 받게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손 고문은 야권 통합 이후 김·안 신주류와 긴장관계를 형성해왔고, 정 고문과 천 전 장관은 상대적으로 우호적 이다.
이미 6·4 지방선거 과정에서 한차례 재편된 야권 내 잠룡들간 차기경쟁 구도도 또 한 번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없지 않아 보인다.
이에 따라 안 대표는 재보선 승패에 따라 갈림길에 선 형국이고, 문재인 의원의 입지도 재보선 결과와 안 대표의 위상 변화 여하에 따라 갈릴 수밖에 없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