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2016년까지 저상버스를 924대 수준으로 확대하려던 계획이 사실상 어렵게 되자 장애인단체가 반발하며 강력한 투쟁을 선언하고 나섰다.
28일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성명을 내고 인천시에 24시간 활동보조, 저상버스 추가 도입을 즉각 실행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연대는 지난 5월 ‘24시간 활동보조 시범사업 실시’와 ‘저상버스 추가 도입’을 골자로 한 7대안 요구에 대해 지난 24일 최종간담회를 가졌다.
그동안 연대는 7대 요구안 중 양보할 수 없는 가장 절박한 사안으로 ‘24시간 활동보조’와 ‘저상버스 도입’을 주장해왔다.
그러나 “이날 인천시장의 전권을 위임받은 시 보건복지국장에게 ‘올해 목표였던 저상버스 174대 도입은 예산부족으로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들어야만 했다”며, “인천시는 올해 저상버스 도입 목표였던 174대 도입을 무시하고 겨우 40대 도입 예산만을 수립하면서 스스로 논란을 부추겼다”고 비난했다.
또 “시는 24시간 활동보조와는 관계도 없는 ‘장애인 응급알림e’ 서비스로 사각지대를 해결해보겠다고 했으나 시급한 것은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이다”라고 강조했다.
결국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두가지 요구안에 대해 사람의 목숨과 기본적 권리조차 예산 앞에서는 무의미하다는 거부입장을 확인했다”며, “분노를 느꼈다”고 했다.
따라서 연대는 “차별받는 장애인에게 24시간 활동보조와 저상버스 도입은 예산에 맞춘 선택지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기본적 권리라며, 강력한 투쟁으로 맞서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오는 2016년까지 연대의 건의를 수렴해 저상버스를 924대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었으나 극심한 재정사항으로 수립된 예산에 따라 올해는 우선 40대 이상을 증차하고 지속적으로 증차를 모색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김상섭기자 k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