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0.4℃
  • 맑음강릉 6.9℃
  • 맑음서울 5.2℃
  • 구름많음대전 4.1℃
  • 구름많음대구 4.8℃
  • 구름많음울산 8.3℃
  • 맑음광주 7.6℃
  • 맑음부산 10.3℃
  • 맑음고창 4.4℃
  • 구름조금제주 10.7℃
  • 맑음강화 2.0℃
  • 구름많음보은 0.3℃
  • 흐림금산 2.2℃
  • 맑음강진군 5.7℃
  • 구름많음경주시 7.2℃
  • 맑음거제 8.8℃
기상청 제공

내년 중 암치료 가능한 우유 생산길 열렸다

서울우유 생명공학연구소-서울대 수의대
세계 최초 ‘형질전환 형광 소’ 생산 성공

서울우유 생명공학연구소와 서울대 수의대는 유전자 삽입에 따른 소의 형질전환 여부를 형광 물질로 확인할 수 있는 ‘형질전환 형광 소’ 생산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형질 전환이란 외부 유전자 주입을 통해 생명체의 형질이 변하는 현상을 뜻한다.

사람에게 필요한 유전자를 이 소에 넣어 우유로 분비하도록 하면 유용한 단백질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기존에는 형질전환 소를 생산할 때 바이러스를 이용해 외래 유전자를 소의 정자, 난자, 수정란 등에 넣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암 유발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진은 이번에 바이러스 대신 게놈 안에서 위치를 옮길 수 있는 유전자인 트랜스포존(transposon)을 활용했다.

연구진은 트랜스포존을 수정란에 직접 미세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또 미세주입 방법으로 유전자를 삽입한 수정란을 대리모에 이식해 형질전환 소를 생산했다.

이 연구를 통해 태어난 소는 녹색 빛을 내는 ‘녹색형광단백질’을 갖고 있는데 처음에는 녹색을 띠지만 재조합 단백질을 주입하면 주둥이, 발굽 등 신체 부위가 적색으로 바뀐다.

형광 물질은 형질전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지표다.

외부 유전자가 성공적으로 주입되면 주둥이, 발굽 등 소 신체 부위가 녹색에서 적색으로 바뀐다.공동 연구를 진행한 서울우유와 서울대는 이 방법을 소에 적용하는 기술에 대해 특허를 출원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토대로 이르면 내년 중 암 치료용으로 많이 쓰이는 인터루킨 등 유용한 단백질을 분비하는 형질전환 소 생산을 기대하고 있으며, 다양한 바이오 신약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건종 서울우유 생명공학연구소장은 “앞으로 유전자 조절을 통한 형질전환 소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 사람에게 유익한 단백질을 생산하고 바이오 신약 생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