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가안보실은 25일 ‘국가사이버안보위기 평가회의’를 긴급 소집해 관련 기관의 대비태세를 점검한 결과 “원전 가동 중단이나 위험한 상황이 초래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김관진 안보실장 주재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정보원, 대검찰청,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관계기관 차관(급) 10명이 참석해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의 고리·월성·한빛·한울 등 4개 원전본부의 비상대비태세를 집중 점검하고, 추가 사이버 테러 발생 가능성과 해킹 조사 및 수사 진행 상황, 향후 대처 방안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실은 “오늘 회의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원전은 모두 정상 가동 중인 것을 재확인했다”며 “원전 제어 시스템은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어, 외부 해킹에 의한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킹집단이 과거 획득한 자료를 5차례에 걸쳐 조금씩 공개하며 사회불안을 조장하려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해킹 및 자료 유출 경위와 진원지는 이른 시일 내에 규명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는 북한의 사이버테러 자행 가능성이 점쳐지던 지난 17일에 이어 두번째로, 자칭 ‘원전반대그룹’의 원전가동 중단 요구 시점에 맞춰 소집됐다.
산업부와 한수원은 전날 오후 6시부터 정부세종청사와 한수원 서울 본사, 고리·월성·한빛·한울 등 4개 원전본부에 비상상황반을 꾸리고 24시간 비상대기체제에 들어간 상태다.
사건을 수사 중인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은 원전반대그룹의 실체 파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서 합수단은 유출 자료 공개 시 사용한 인터넷프로토콜(IP) 접속 기록이 북한과 인접한 중국 선양에 집중된다는 사실을 확인, 북한과의 연계 가능성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