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당권 레이스에 나선 후보들의 경쟁이 난타전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먼저 문재인 후보는 전대 초반에는 경쟁자들의 공격에 반응을 자제했지만 거친 공세가 이어지자 단호하게 반박하는 쪽으로 기조를 전환했다.
문 후보는 올초 대의원들에게 보낸 연하장에서 “제가 좀 독해보이지 않아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새해에는 달라진 문재인을 보여드리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실제 그는 최근 광주MBC가 주최한 합동토론회에서 박지원 후보를 향해 “(저에게) 당 대표 경선에 나오면 안 된다는 주장이야말로 패권주의적이며, 당을 계속 장악하겠다는 것”이라며 “박 후보가 당 대표가 되면 제왕적 대표가 될 거라는 걱정이 당원들 사이에 많다”며 역공을 폈다.
박지원 후보 역시 이번에는 초반부터 화끈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대선 후보가 당권까지 가져서는 안 된다는 ‘당권·대권 분리론’으로 문 후보를 직접 겨냥해 공세를 펴고 있다.
여기에 문 후보가 2012년 총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예를 들어 대선후보가 총선을 지휘하는 게 효과가 있다고 반박하자 “노무현의 길을 버리고 박근혜의 길을 가겠다는 것”이라고 몰아붙였다.
또 광주MBC토론회에서는 “문 후보가 청와대 민정수석 때 대북송금 특검을 하면서 남북관계가 깨졌고, 김대중 대통령은 투석을 시작했다”고 하는 등 공세가 점차 강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박 후보 측이 “문 후보 측이 지역위를 동원해 대의원 간담회를 열었다”며 불법선거운동 의혹을 제기하자 문 후보 측은 “박 후보 측이 먼저 대의원 간담회를 열었다”고 반박하면서 두 후보가 정면 충돌했다.
‘다크호스’로 분류되는 이인영 후보도 이 싸움판에 뛰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아직은 노동현장을 방문하는 등 정책 중심의 행보를 보이고는 있지만, 문 후보와 박 후보의 설전이 워낙 치열해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계속 비켜서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후보들간 언쟁이 지나치게 격화할 경우 당을 위해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