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오는 2018년까지 매년 400억씩 총 2천억원을 북·동부 경제발전에 쏟아 붇는다.
시·군별로는 산업경제기반 조성 및 생활경제기반 육성사업 등에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된다.
경기도는 한국은행 경기본부와 29일 북부청 평화누리홀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2015년 경기 북·동부 경제특화발전지원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도는 북·동부를 통일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지역으로 육성키 위해 지역경제 특화 발전사업 공모를 추진한다.
대상은 북부 10개 시·군과 하남, 광주, 이천, 성남, 용인, 여주, 양평, 안성, 평택 등 총 19개 시·군이다.
이를 위해 오는 2018년까지 연간 400억원, 총 2천억원이 투입된다.
시·군별 지원 규모는 최대 100억원이다.
공모는 고용창출과 산업 및 생활 경제 육성에 초점을 맞춰 ‘지역산업경제기반 조성형’과 ‘생활경제 육성형’으로 나뉜다.
두 분야 모두 시·군의 경제력지수에 따라 총 사업비의 50~100% 내에서 차등 지원된다.
‘지역산업경제기반 조성형’에는 30~100억원 규모가 투입되며 기존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해 진행 중이거나 예정된 사업도 지원가능하다. 다만, 환승센터와 민자역사 등 개별 SOC 사업으로 추진 또는 예정된 사업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생활경제 육성형’은 10~70억원 규모가 투입되며 국·도비 지원 대상으로 추진 중이거나 예정인 사업은 응모할 수 없다.
도는 2~3월 공모 후 사업계획의 적정성·지역경제력지수·지자체 추진역량·사업의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서면 및 오디션평가를 거쳐 대상 사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최현덕 도 경제실장은 “경기 북동부는 통일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지역으로 선제적 투자로 미래를 준비할 것”이라며 “지역 맞춤형 지원을 통해 북동부 경제 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