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부·지자체 중장기 계획 지표체계 개선”

경기연 연구보고서 발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중장기 기본 및 종합계획, 장기 비전 등이 보다 미래지향적인 계획이 되도록 지표체계를 개편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상대 선임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인 담긴 ‘경기도 미래지표 개발과 활용방안 연구’ 보고서를 9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수립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중장기 기본계획이나 장기 비전에 담긴 지표들은 대부분 현재를 나타내고 있다.

중장기 기본계획이나 장기 비전임에 불구, 미래지향적인 시민들의 욕구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기존 계획 및 비전의 지표체계를 개편, 고령화준비·지역사회통합·창조경제역량·건강도시·미래도시지수 등 미래지향성이 강한 지표로 개편해야 한다는 게 이 연구위원의 주장이다.

경기도의 2020 종합계획 재수립 시나 2040 장기비전 수립 시도 이에 포함된다.

이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5개 영역 30개 지표로 구성된 미래지표체계를 제시했다.

5개 영역은 ▲지역사회 안정과 건강 ▲지역사회의 경제적 번영과 소득 ▲지역사회 인적자원 개발 ▲지속가능 도시환경과 에너지 ▲지역사회의 제도적 역량 등이다.

각 영역은 빈곤율과 고령화준비지수, GRDP 성장률, 평생학습참여율, 도시매력도지수, 주민제안예산비율 등 4~7가지의 세부 추진지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이어 “도민이 참여하고 체감하는 미래지표 개발과 정보전달체제를 만들기 위해 미래지표 신호등 역할을 하는 (가칭)‘미래지표 대시보드’, ‘미래지표 홈페이지’, 경기도 지-버스(G-bus) 내 모니터 활용, 정기 리포트 발간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경환기자 jing@








COVER STORY